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401292
한자 星州文學
영어공식명칭 Seongju Literature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문헌/연속 간행물
지역 경상북도 성주군 금수면 후평1길 86-15[후평리 1155]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배창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창간 시기/일시 2001년 10월 24일연표보기 - 『성주 문학』 창간
폐간|종간 시기/일시 2016년 12월 30일연표보기 - 『성주 문학』 종간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1월 10월 24일 - 『성주 문학』 창간호 출판 기념회 및 시 낭송회 개최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5년 - 『성주 문학』 15호 출판 기념 시 낭송회 개최
소장처 성주문학회 - 경상북도 성주군 금수면 후평1길 86-15[후평리 1155]
제작|간행처 성주문학회 - 경상북도 성주군 금수면 후평1길 86-15[후평리 1155]지도보기
성격 기관지
관련 인물 김순란|김기자|박덕희|도현세|배창환
창간인 김순란
발행인 김순란[창간호~3호, 11~16호]|김기자[4~10호]
판형 가로 15㎝|세로 22㎝
총호수 16호

[정의]

경상북도 성주의 성주문학회에서 발행한 종합 문학지 성격의 연간 기관지.

[개설]

이 땅에 올바른 삶과 문학을 세워 간다는 성주문학회의 지향점 아래 성주군에 거주하는 회원과 출향 문인들의 시, 산문, 평론 작품들을 수록하고 회원의 작품 세계를 재조명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는 장이 되었다. 성주문학회에서 펼쳐 온 문학의 대중적 저변 확대를 위한 활동, 청소년 문예 진흥을 위한 활동, 성주군에서 각 문화 예술 단체와 문화 예술인들이 펼치는 의미 있는 활동의 성과와 창작물 등을 수렴하고 정리하여 수록하였다.

[창간 경위]

2000년 4월 19일 성주문학회를 창립하면서, 『성주 문학』 창간 준비호 성격의 회원 시 낭송 작품집 『시루떡 돌리던 날』을 출간하였다. 이후 1년여 활동의 성과를 모아 2001년 10월 24일 『성주 문학』 창간호를 출간하였다.

[형태]

창간호의 크기는 가로 15㎝, 세로 22㎝이며, 342쪽 분량이다. 이후 크기는 변화가 거의 없었으나 분량은 최소 257쪽[16호]에서 최대 435쪽[4호]에 이른다. 6~9호는 표지를 가로 편집으로 하여 변화를 꾀하다가 10호부터 다시 세로 편집으로 되돌렸다.

[구성/내용]

『성주 문학』성주문학회 회원의 연간 작품집으로 시, 동화, 수필, 서평, 평론 등을 다양하게 수록하였다. 회원 중에 ‘성주 문학이 만난 올해의 시인[문화 인물]’을 선정하여 작품 세계를 집중적으로 재조명하는 특집을 구성하였다. 문인수, 김태수, 배창환, 이일향[시조], 리강룡[시조], 김기자, 박방희[시, 동시], 김순란[동화, 수필], 문차숙, 원무현, 안용태, 노태맹, 이기숙 시인 외에 최재우[마당극 창작·연출가], 이덕주[향토사학자] 등이 선정되었다. 또한 성주 학생 문학상 수상 작품집, 가야산 청소년 백일장 작품집과 성주 문화의 현장, 성주 문화의 현주소, 우리 고장 시 모음 등을 특집으로 고정 배치하였다. 성주 문화 예술인 인물 조명과 성주 내외의 저명한 평론가, 학자, 문화 예술인들의 특별 기고를 수록하기도 하였다[염무웅, 이하석, 김태수, 이덕주, 이상필, 정우락, 최재우, 박재범, 김충환 등]. 특히 성주 독자들의 작품을 계속 발굴하여 수록함으로써 문학의 대중적인 소통을 꾀하였으며, 성주의 고전 문학, 현대 문학과 성주의 살아 있는 창작 예술, 문화, 향토 역사 문화 등을 아우르는 폭넓은 내용을 수렴하고 확산하고자 하였다.

[변천과 현황]

『성주 문학』은 창간호부터 문학과 예술 문화인들의 관심과 주목을 받았으며, 열악한 문학 내외적 환경 속에서도 16호까지 거르지 않고 꾸준히 발행하였다. 17호부터는 누구나 접근하기 좋도록 문턱을 더 낮추고 시대 변화에 맞게 책의 체재와 내용을 바꾸어 나가기 위해 『성주, 사람과 문화』로 제호를 바꾸었다.

[의의와 평가]

『성주 문학』은 옛 선인들의 시문(詩文) 전통과 단절되어 척박해진 문학적 환경과 지형 위에서 성주인의 삶의 애환을 담은 문학을 펼쳐 온 성주 문학인들의 창작품과 다양한 문학 활동을 담아내는 그릇이었으며, 성주 지역의 예술인, 문화인들의 의미 있는 성과를 받아 기록해 온 열린 공간이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