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400556
한자 金用超
영어공식명칭 Gim Yongcho
이칭/별칭 내성재(內省齋),문절(文節)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경상북도 성주군
시대 고려/고려 후기
집필자 진갑곤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329년연표보기 - 김용초 출생
활동 시기/일시 1390년 - 김용초 밀직부사 제수
활동 시기/일시 1392년 - 김용초 밀직부사 다시 제수
몰년 시기/일시 1406년연표보기 - 김용초 사망
추모 시기/일시 1773년 - 김용초 묘역 정비
추모 시기/일시 1968년 - 내성재 김용초 유허비 건립
출생지 김용초 출생지 - 경기도 용인
거주|이주지 김용초 거주지 - 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 옥성리 지도보기
묘소|단소 김용초 묘소 - 경상북도 김천시 부항면 유촌리
사당|배향지 원모재 -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수륜리 지도보기
사당|배향지 내성재 김용초 유허비 - 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 옥성리 지도보기
성격 무신
성별
본관 의성
대표 관직 호남병마절제사

[정의]

고려 후기 성주 지역에 거주한 무신.

[개설]

김용초(金用超)[1329~1406]는 충정왕(忠定王) 때 문과에 급제하여 전적(典籍)을 거쳐 밀직부사(密直副使), 호남병마절제사(湖南兵馬節制使), 도총제(都總制) 등을 지냈다.

[가계]

본관은 의성(義城). 호는 내성재(內省齋). 고조할아버지는 태자첨사(太子詹事) 김용비(金龍庇)이고, 증조할아버지는 판전객시사(判典客寺事) 김영(金英)이며, 할아버지는 초계군수(草溪郡守) 김지예(金之銳)이다. 아버지는 판사(判事) 김수덕(金修德)이다. 부인은 옥산 장씨(玉山張氏)이다.

[활동 사항]

김용초는 경기도 용인(龍仁)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숙성하여 석 달 만에 혼자 설 수 있을 정도였다고 한다. 충정왕 때 문과에 급제하였으나 무재(武才)도 뛰어났다. 1371년(공민왕 20) 3월 공민왕(恭愍王)이 개풍군(開豐郡)의 헌릉(憲陵)을 참배하고 용둔교(龍遁郊)에서 활 쏘기를 관람할 때, 이옥(李沃)과 함께 활을 잘 쏘아 안장과 말을 하사 받았다. 이 일을 당대 시인 백문보(白文寶)가 시로 지어 칭탄(稱嘆)하였다. 1390년(공양왕 2) 밀직부사로 있을 때 왜구가 양광도(楊廣道)를 침탈하자 윤사덕(尹師德), 이방과(李芳果), 유용생(柳龍生), 곽충보(郭忠輔) 등과 함께 영주(寧州)의 도고산(道高山) 아래에서 왜구 100여 급(級)을 베고, 포로로 잡힌 남녀와 가축들을 구하여 돌아왔다. 조선 개국 후에는 개국 공훈으로 순충분의좌명 원종공신(純忠奮義佐命原從功臣)에 녹훈(錄勳)되고 가의대부(嘉義大夫)로 충청도 병마도절제사에 올랐다. 벼슬에서 물러난 후 현 성주군 대가면 옥성리 내기(內基)[안터]에서 살다가 다시 지례(知禮) 유천촌(柳川村)[현 경상북도 김천시 부항면 유촌리]으로 옮겨 그곳에서 세상을 떠났다.

[묘소]

묘소는 경상북도 김천시 부항면 유촌리 용현(龍峴)에 있다.

[상훈과 추모]

병조판서에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문절(文節)이다. 1746년(영조 22) 후손들이 성주군 수륜면 수륜리 윤동 마을 입구에 원모재(遠慕齋)를 건립하였다. 1968년 성주군 대가면 옥성리 안터 마을 입구에 내성재 김용초 유허비(內省齋金用超遺墟碑)를 건립하였고, 1987년 원모재를 중건하였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