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400395
한자 李長庚神道碑
영어공식명칭 Memorial Stone of I Janggyeong
이칭/별칭 농서군공이장경신도비(隴西郡公李長庚 神道碑)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경상북도 성주군 벽진면 자산3길 366-31[자산리 41]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정은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850년연표보기 - 이장경 신도비 건립
현 소재지 경상북도 성주군 벽진면 자산3길 366-31[자산리 41]지도보기
성격 신도비
관련 인물 이장경|홍직필|이원조
재질 석재
크기(높이, 너비, 두께) 240㎝[높이]|97㎝[너비]

[정의]

1850년 성주 이씨 중시조 이장경을 기리기 위해 경상북도 성주군 벽진면 자산리에 세운 비.

[개설]

이장경(李長庚)은 고려 시대 중기의 호족으로, 본관은 성주이며 경상북도 경산에서 태어났다. 성주 이씨(星州李氏)는 신라 말 이순유(李純由)가 시조로 이후 5대부터 이범(李凡)·이정거(李廷居)·이충경(李冲京)·이영(李瑩)·이효삼(李孝參)·이돈문(李敦文)·이득희(李得喜)·이장경으로 내려오면서 명문가로 성장하게 되었다. 이순유의 12세손인 이장경은 이백년(李百年)·이천년(李千年)·이만년(李萬年)·이억년(李億年)[1266~?]·이조년(李兆年)[1269~1343] 등 아들 다섯과 딸 하나를 낳았다. 다섯 아들이 모두 과거에 급제하여 명성을 떨쳤다. 이후 왕은 이장경을 삼중대광(三重大匡) 좌시중(左侍中) 흥안부원군(興安府院君), 도첨의정승(都僉議政丞) 지전리사사(知典理司事) 상호군(上護軍) 경산부원군(京山府院君)에 봉하였다. 특히 손자 이승경(李承慶)[이천년의 둘째 아들]이 원나라에서 공을 세워 이장경농서군공(隴西郡公)으로 추대되었다. 중흥 시조 이장경농서군공이 되어 농서 이씨(隴西李氏)라고도 하였는데, 충렬왕 이후 성주목(星州牧)의 지명을 따라 성주 이씨(星州李氏)라고 하게 되었다.

[건립 경위]

이장경 신도비(李長庚神道碑)는 각지의 후손들이 성주 이씨 중시조인 이장경의 성품과 공덕을 기리고 명문가로서의 가계를 후손들에게 전하고자 1850년(철종 1)에 건립되었다.

[위치]

이장경 신도비는 경상북도 성주군 벽진면 자산3길 366-31에 있다. 벽진면 소재지에서 지방도 제913호선을 따라가다 보면 초전면과 경계에서 안산영당(安山影堂)으로 안내하는 이정표를 따라 왼쪽 비탈길로 올라가면 길 안쪽 끝에 안산영당이 있다. 안산영당성주 이씨 선조들 중 나라에 공을 세운 13명의 영정과 위패를 모시고 제를 지내는 건물로, 본래 이장경 신도비이장경의 묘와 함께 있었으나 그의 묘 터에 성주 세종 대왕 자 태실(星州世宗大王子胎室)이 들어서게 되면서 안산영당의 남쪽 편인 지금의 장소로 옮겨졌다.

[형태]

이장경 신도비의 전체 높이는 422㎝이고 비신은 높이 240㎝, 너비 97㎝이다. 귀부, 비신, 이수가 결합된 형태로 이수의 전면 중앙에는 쌍룡문을 새기고 하단에는 여의두문을 돌렸다. 귀부는 정교하게 새겼으며 귀두가 큰 편이다. 비좌 아래 귀부의 귀갑문은 육각형의 돋을 선으로 새겼는데 외곽에는 이중으로 새겼다.

[금석문]

이장경 신도비는 1850년(철종 1) 이종영이 세우고, 비명은 홍직필이, 글씨는 응와 이원조가 썼다.

[현황]

이장경 신도비안산영당 앞 남쪽에 떨어져 세워져 있다. 신도비 외곽에는 보호각이 설치되어 관리되고 있으나 신도비에 대한 문화재 안내판이 설치되지 않아 문화재 정보를 알기 어렵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