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오성세고』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602463
한자 烏城世稿
영어음역 Oseongsego
영어의미역 Record of Oseong
분야 역사/근현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전라북도 남원시 대산면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손앵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시문집
관련인물 최상문(崔象汶)|최항(崔迒)|최봉의(崔鳳儀)|최현(崔玹)|최강(崔綱)|최식(崔湜)|최경(崔逕)
저자 최상문(崔象汶)|최항(崔迒)|최봉의(崔鳳儀)|최현(崔玹)|최강(崔綱)|최식(崔湜)|최경(崔逕)
간행연도/일시 1905년연표보기
권수 13권
책수 3책
사용활자 목활자(木活字)
가로 21.2㎝
세로 32.5㎝
표제 烏城世稿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처 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 산 60-1[반포대로 201]

[정의]

1905년에 간행된 화순최씨(和順崔氏) 7인의 시문집.

[개설]

『오성세고(烏城世稿)』는 남원군 대산면(大山面) 죽곡(竹谷)에 살았던 최상문(崔象汶), 최항(崔迒), 최봉의(崔鳳儀), 최현(崔玹), 최강(崔綱), 최식(崔湜), 최경(崔逕) 등 화순최씨 일가 7인의 시문을 합철한 책이다.

[편찬/발간경위]

기우만(奇宇萬)의 서(序)와 후손 최익호(崔翼浩), 최중섭(崔重燮)의 발(跋)을 붙여 1905년에 간행되었다.

[서지적 상황]

고려대학교 도서관과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성균관대학교 존경각 등에 소장되어 있으며, 본서의 저본은 1905년 후기 목활자로 간행된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이다.

[형태]

13권 3책이며, 목활자본(후기 목활자)이다. 표제는 오성세고(烏城世稿)이다. 어미는 상향이엽화문어미(上向二葉花紋魚尾), 광곽은 사주단변(四周單邊)이다. 반곽 크기는 가로 17.1㎝, 세로 22.5㎝이다. 행수는 10행, 한 행의 자수는 20자, 주석은 쌍행이다.

[구성/내용]

책의 앞뒤로 서와 두 편의 발이 붙어 있다. 편목을 보면 권1~3에 최상문의 『죽곡유고(竹谷遺稿)』, 권4~5에 최항의 『매헌실기(梅軒實記)』, 권6~8에 최봉의의 『양묵재집(養默齋集)』, 권9~10에 최현의 『효자공실기(孝子公實記)』, 권11~13에 최강의 『운재집(雲齋集)』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같은 ‘『오성세고』’라는 이름으로 최식(崔湜)의 『수암실기(睡菴實記)』와 최경(崔逕)의 『죽서유고(竹西遺稿)』가 합고된 1책이 있다.

[의의와 평가]

화순최씨 일족 7인이 보여 준 시작(詩作) 양상과 5대에 걸친 시문의 변화상을 보여 주는 좋은 자료이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1.10.11 2011년 한자 재검토 작업 최식(崔湜)의 『수창실기(睡菴實記)』와 ->최식(崔湜)의 『수암실기(睡菴實記)』와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