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100051
한자 言語
영어공식명칭 language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언어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경상북도 경산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유정

[정의]

경상북도 경산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 체계.

[개설]

방언은 사람들의 일상생활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방언연구는 생생하게 살아 있는 언어 자료의 분석과 연구를 통해, 방언의 독자적인 체계를 파악할 수 있으며, 또 그 체계가 갖는 중요한 특성을 밝힐 수 있는 의의를 지닌다. 즉 하나의 언어는 몇 개의 하위방언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하위방언에 대한 연구는 해당 언어에 대한 총제적인 연구를 위해서 필요한 것이다.

경산 지역은 경상북도의 남부 중앙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면서 서쪽으로는 대구광역시, 남쪽으로는 청도군, 동북쪽으로는 영천시 등과 인접해 있다. 대구분지의 동쪽 끝에 자리잡은 경산 지역은 경부선, 경부고속도로 그리고 밀양, 영천 방면의 국도가 지나가는 교통의 요지이다. 또한 대구광역시와 연접하여 있는 관계로 대구의 일상생활권내에 속해 있는 대도시 근교 주변지역으로의 성격을 강하게 지닌다. 이러한 지리적 요소로 대구 지역과 큰 언어적 차이를 보이지는 않지만, 급격한 사회 변화로 인해 앞으로 타 지역과 경산 지역 언어의 차이가 예견된다.

[경산 방언의 성격]

경상북도에 위치한 경산 지역은 강원도, 충청북도, 전라북도 등 타 행정구역들과 인접하고 있고 동일 방언권인 경상남도와도 인접해 있다. 우리 한반도의 일차적 하위 방언구역을 동북방언, 서북방언, 중부방언, 동남방언, 서남방언, 제주방언으로 나눈다면 경산 지역은 동남방언 중 북부방언권에 속하는 방언이다.

[경산 방언의 특징]

경산 방언의 자음은 다른 방언의 경우와 마찬가치로 ‘ㅅ’과 ‘ㅆ’이 변별되지 않는다. 모음은 ‘이, 애[ㅔ], 애, 이[ㅟ], 애[ㅚ]/어[으], 어, 아, 우, 오’로 발음된다. ‘에와 ’애‘는 구별되지만, ‘으’와 ‘어’가 구별되지 않는다.

경산 방언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모음조화이다. 여타 경북방언에는 어간 말음절이 개음절이자 모음 ‘ㅏ’를 가진 경우 모두 어미 ‘-아X’를 취한다. 그러나 경산 방언에서는 부동사형어미 ‘-아/어’나 명령형어미 ‘-아라/어라’와 같은 형태소경계의 환경에서 볼 때 어간 모음이 ‘-아’가 아니라면 ‘막-어도’에서처럼 언제나 ‘-어X’로 실현된다. 예를 들어 ‘[손을]잡-아라’의 경우 ‘자버라’, ‘[발을]밟-아라’의 경우 ‘발버라’와 같이 나타난다.

또한 경산 방언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는 현상은 움라우트이다. 경산 방언에서 움라우트는 ‘ɨ→i, u→wi→i, ə→E→i, o→wE/wi→E/i, a→E’로 실현된다. 결국 i, E 중 어느 하나로 귀착하는데 이는 전설모음이 이 두가지밖에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경산 방언에서는 사동사냐 피동사냐 하는 것이 움라우트 실현의 결정적인 제약조건이 되지 못한다.

[문법적 특징]

경산 방언의 문법은 여타 다른 경북 방언과 마찬가지로 복장하고 다양하게 나타난다. 경산 방언 격조사의 경우 독특한 대격조사가 존재한다. ‘-로’와 ‘-으로[ㄹ]’가 있다. ‘-로’는 모음이나 ‘-ㄹ’로 끝나는 명사와 합쳐져 쓰인다. 호격조사도 매우 특징적이다. 경남 방언에서는 ‘-요’가 실현되나, 경산을 비롯한 경북 방언에서는 ‘-예’가 실현된다.

[어휘적 특징]

경산 방언의 어휘 특징을 어휘체계의 규칙으로 설명하기 어렵다. 그러나 다른 방언과 다른 독특한 고어형을 유지하고 있는 어휘는 존재한다. 이를 농사·음식·가옥·의복·인체 등 다섯 가지로 분류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농사 어휘

벼이삭[나락이삭, 나락이새기], 볍씨[신나락], 못자리[모자리], 김매다[지심맨:다], 쟁기[쟁기], 써레[서:리], 괭이[깽:이], 왕겨[덩개], 무말랭이[오그락찌, 오그래기], (콩, 팥)심는다[시문는다], 자루-에[자리애], [뉘를]골라낸다/발라낸다/가려낸다[가래앤:다]

2. 음식 어휘

김치[지:, 짠지], 간장[지렁], 간장종지[장:종바리], 두부[조:피, 두부], 부추[정구지], 주걱[주개], 엿기름[질굼], 뚜껑[띠빙이], 부뚜막[불뚜무], 부지깽이[부적깽이], 굴뚝[꿀:떡, 꿀띡-이], 숯/-이/-을/-에[숟/수껑이/수껑/수껑애], [쌀을]쑳다[신넌다], (꿀뚝을)쑤신다[후빈다]

3. 가옥 어휘

서랍[빼다지], 궤[기:], 자물쇠[자물통], 베개[비:개], 목침[목치미], 솜이불[한니불], 미닫이[밀:창 (밀챙-이라)], 벽[빅], 기와집[개아집], 고드름[고:더럼], 두레박[따리박], 개울[걸:], 뜰/-을/-에서[쭉땀/쭉따멀/쭉마매서], 누벼야 한다[뉘빈다], [이불을]폈다[피이따]

4. 의복 어휘

빨래[빨래, 새답], 다리미[다리비], 인두[윤디], 재봉틀[자방틀], 골무[골미], 가위[가시개], 솜[소개, 소캐], 목화[명, 미영], 반짇고리[바늘당새기#], 번데기[뿐디기#], 누에나방[나봉이], 오디[포도, 포고], 빨다[시인다], 깁-는다[짐:는다/지버라]

5. 인체 어휘

머리카락[머리터리기#], 가르마[가리마], 비듬[지개미#, 지기미#], 수염[수염, 시:미, 새:미], 구렛나룻[구릳시:미], 뺨[빼마리], 보조개[볼우물], 입술(위/아래)[우애입시버리#/미태입시버리], 혓바늘[샙빠널], 비누[비누〉사:분], 거울[맹:겅], 겨드랑[재더랭이], 엉덩이[엉:시미], (얼굴을)씻는다/닦는다[신넌다], (눈두덩이)붓다[벗: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