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100590
한자 大丘鎭管河陽縣誌
영어공식명칭 『Daegu-jingwan Hayang-hyunji』
이칭/별칭 하양현현지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경상북도 경산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재두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편찬 시기/일시 1832년연표보기 - 『대구진관하양현지』 편찬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성격 읍지
편자 하양현
권책 1책
행자 20행 20자
규격 세로 31.5㎝|가로 19.5㎝

[정의]

1832년 편찬된 경상도 하양현의 읍지.

[개설]

『대구진관하양현지(大丘鎭管河陽縣誌)』는 진단학회(震檀學會) 소장본으로,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상백문고에 소장되어 있다.

[저자]

『대구진관하양현지』는 하양현감 신명강(申命康)이 재임 중에 편찬하였다. 신명강은 『대구진관하양현지』 환적(宦蹟) 마지막에 수록되어 있는데, 1829년(순조 29) 10월에 임명되어 1834년(순조 34) 6월까지 하양현감으로 재임하였다.

[편찬/간행 경위]

1832년(순조 32) 내려진 전국 읍지 상송령에 따라 경상감영은 관내 각 고을에 읍지 제작을 지시하였다. 이에 따라 경상감영은 하양현[현재 경상북도 경산시] 등에서 제출한 각 고을의 읍지를 수정·보완하여 『경상도읍지』로 완성하였다. 『대구진관하양현지』는 바로 정본인 『경상도읍지』 수록 「하양현읍지」의 초고본이 된다.

[형태/서지]

『대구진관하양현지』는 1책 필사본으로 인찰정간에 장당 20행 20자이다. 지도 2면을 포함하여 모두 12장이며, 크기는 세로 31.5㎝, 가로 19.5㎝이다. 내제는 ‘대구진관하양현지’인데, 『경상도읍지』 정본이 완성되는 과정에서 다른 고을처럼 ‘하양현읍지’로 변경되었다.

[구성/내용]

『대구진관하양현지』의 수록 항목은 지도·건치연혁·현명(縣名)·관직·성씨·산천·풍속·방리·호구·전부(田賦)·공역(貢役)·요역(徭役)·군액·성지·임수(林藪)·창고·군기·관애(關阨)·진보·봉수·학교·단묘·능묘·불우·관실(官室)·누정제영(樓亭題詠)·도로·교량·도서(島嶼)·제언·장시·역원·목장·형승·고적·토산·진공·봉름·환적·과제(科第)·인물·비판(碑板)·책판(冊板)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가운데 공역과 요역은 『경상도읍지』 정본화 과정에서 전부조에 포함되었으며, 관실은 공해로 변경되었다. 하양현에 해당사항이 없는 성지·임수·관애·진보·능묘·관실·도서·목장의 경우 이두식 표현으로 ‘무호사(無乎事)[없는 일]’라고 기재해 놓았다. 방리조에 따르면 당시 하양현은 읍내면(邑內面) 10동, 마양면(磨陽面) 7동, 안심면(安心面) 6동, 낙산면(樂山面) 7동, 중림면(中林面) 5동, 와촌면(瓦村面) 6동, 북면(北面) 4동으로 편성되어 있었다. 호구는 1,726호, 7,175구[남자 3,962구, 여자 3,213구]로 나타난다. 학교조에는 1786년(정조 10) 설립된 남호사(南湖祠), 1790년(정조 14) 사액된 금호서원(琴湖書院)이 수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1832년 『경상도읍지』 편찬 과정에서 경상감영이 정본화한 「하양현읍지」의 초고본으로 하양현의 입장을 더욱 잘 보여주는 읍지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