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100579
한자 慶山喪輿-關聯文書
영어공식명칭 Gyeongsan Sangyeotjib and Related documents
분야 생활·민속/민속,문화유산/유형 유산,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문서
지역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무학로62길 162[대학리 산144-35]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정은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작성 시기/일시 1891년 - 상엿집 건립
문화재 지정 일시 2010년 8월 30일연표보기 - 경산 상엿집과 관련 문서 국가민속문화재 제266호 지정
소장처 국학연구소 대구경북지부 - 경상북도 경산시 무학로62길 산162-0 지도보기
소장처 경산시립박물관 - 경상북도 경산시 박물관로 46 지도보기
발견|발굴처 경산 상엿집 - 경상북도 경산시 무학로62길 산162-0 지도보기
성격 건축|고문서
용도 기록
발급자 상엿계
문화재 지정 번호 국가민속문화재 제266호

[정의]

경상북도 경산시에 있는 개항기 상엿집과 관련 문서.

[개설]

경산 상엿집은 본래 경상북도 영천시 자천리에 있던 것을 조원경이 매입하여 현 위치에 이건한 것이다. 건립 당시 상량문이 남아 있어 1891년(고종 28)에 세워진 것임을 알 수 있다. 일반 상엿집이 흙벽과 평지 바닥으로 되어 있는데 비하여 경산 상엿집은 세 칸 규모의 판벽과 우물마루로 되어 있다는 점에서 건축학적인 가치가 있다. 또한, 경산 상엿집 속에는 1891년(고종 28) 상엿집 건립 전후 시기의 상여계 운영에 관한 구체적이고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는 문서와 마을 공동체의 풍속, 촌락의 사회경제 활동 등 당시 마을공동체의 현황을 엿볼 수 있는 동중문서(洞中文書)들이 함께 발견됨에 따라 민속학적·학술적 가치 등 문화재적 가치가 높다.

[제작 발급 경위]

관련 문서는 1891년(고종 28) 상엿집 건립 전후 시기의 상엿계 운영 과정에서 생성된 것들이다.

[형태]

현재 국가문화재로 지정된 경산 상엿집은 흙을 사용하지 않고 전체가 나무로만 되어있다. 둥근기둥 왼쪽 두 칸 마루와 사각기둥 오른쪽 한 칸이 창고 형태인 3칸 건물이다.

관련 문서는 모두 11종 19건으로 상여문서와 동중문서로 구분된다. 상여문서는 「정유 동부 상여도주비수전기(丁酉東部喪轝都註備收錢記)」[세로 268㎝, 가로 15㎝], 「정유 사월 초육일 동부상여제만취조기(丁酉四月初六日 東部喪轝祭萬炊助記)」[세로 70.8㎝, 가로 16㎝], 「상여제작기록문서」[세로 12㎝, 가로 15㎝], 「경자 정월 십오일 상여계수기(庚子正月十五日喪轝契授記)」[세로 70.8㎝, 가로 16㎝] 각 1매와 「임인십일월초팔일 부 동사중건하기(壬寅十一月初八日 附 洞社重建下記)」[세로 31.5㎝, 가로 18.5㎝] 9매 등 5종이다.

동중문서는 「채급문서(債給文書)」[세로 38.5㎝, 가로 9.5㎝], 「영천 자천면 동부서부 양동거민 등장(永川慈川面 東部西部兩洞居民 等狀)」[세로 91㎝, 가로 59㎝], 「동부구걸미수일봉기(東部求乞未收日捧記)」[세로 81.4㎝, 가로 15㎝], 「을미이월십사일천변색리시하기(乙未二月十四日川邊色吏時下記)」[세로 108㎝, 가로 10.5㎝], 「정유오월초구일상임세염기(丁酉五月初九日上任細念記)」[세로 57.4㎝, 가로 15㎝], 미상의 문서 1매[세로 53.8㎝, 가로 10㎝] 등 6종이다.

[구성/내용]

관련 문서 가운데 대략적인 내용이 파악되는 것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정유 동부 상여도주비수전기」는 1897년(광무 1) 자천리 동부 마을에서 상여계와 관련하여 경비를 거둔 내역이다. 「정유 사월 초육일 동부상여제만취조기」는 1897년 동부의 상여를 만들고 제를 지내는 과정에서 술과 안주, 기타 물자를 지원한 내역이다. 「경자 정월 십오일 상여계수기」는 1900년(광무 4) 동부 상여계에서 계금을 분배하여 취식한 내역이다. 「임인십일월초팔일 부 동사중건하기」는 1902년 상여계의 지출기록부로, 뒤에 동사 중건시의 용하기가 첨부되어 있다. 「채급문서」는 1857년 이후 작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돈을 꾸어주는 문서이다.

「영천 자천면 동부서부 양동거민 등장」은 1889년(고종 26) 자천면 동부와 서부의 주민들이 부세를 감해달라고 청원하는 문서이다. 「동부구걸미수일봉기」는 1890년 12월 자천리 동부 마을의 걸굿 자료로 일자별로 받은 액수와 택호 등이 적혀 있다. 「을미이월십사일천변색리시하기」는 1895년 천변에서 색리와 공사를 치루면서 대접하고 지출한 경비를 적은 내역이나, 앞부분이 결락되어 정확한 내용은 알 수 없다. 「정유오월초구일상임세염기」는 1897년 상임의 세념기로 마을별로 세금을 거두어 납부하는 내용이다.

[의의와 평가]

경산 상엿집과 관련 문서는 건축학적, 민속학적으로 학술적 가치를 인정 받고 있다. 현재 관련문서 11점만이 문화재로 등록되었지만 비지정 자료 200여 점도 상여계 및 동계 등의 연구를 진행하는 데 필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 제1회 한국전통상례문화전승 및 세계화를 위한 국제학술 세미나 자료집 『상엿집-순간과 영원의 만남』(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4)
  • 국가문화유산포털(http://www.heritage.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