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065
한자 崔尙玉
영어공식명칭 Choe Sangok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예술인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집필자 박찬모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25년연표보기 - 최상옥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49년 12월 - 최상옥 『학생문화』를 통해 「나」를 발표
활동 시기/일시 1953년 - 최상옥 신생아동문화연구회 설립
활동 시기/일시 1959년 - 최상옥 광주공원 어린이헌장탑 건립
활동 시기/일시 1961년 - 최상옥 전남아동문학연구회 회장 취임, 동화구연대회 개최
활동 시기/일시 1962년 - 최상옥 어린이 노래자랑 대회 개최
몰년 시기/일시 1977년연표보기 - 최상옥 사망
출생지 전라남도 광주군 광주면
성격 문학가
성별
대표 경력 전남아동문학연구회장|전남아동음악협회장|전국예술단체총연합회 이사

[정의]

광주광역시 동구 출신의 아동문학가.

[개설]

최상옥(崔相玉)[1925~1977]은 전라남도 광주군 광주면[지금의 광주광역시 동구]에서 태어났다. 1950~1970년대 전라남도 광주 지역에서 아동 문화 운동을 활발하게 전개하였으며, 창작동화집 『꽃씨 뿌리는 마음』 등을 출간하였다.

[활동 사항]

최상옥광주공립보통학교[지금의 광주서석초등학교]와 광주고등보통학교[지금의 광주제일고등학교]를 졸업하였으며, 연희전문학교 재학 중에 자퇴하였다. 이후 한국신학대학교를 졸업한 뒤 광주서중학교·광주고등학교·광주여자고등학교 등에서 교직 생활을 하였으며, 이후 어머니 현덕신(玄德信)이 설립한 신생유치원과 신생보육학교에서 어린이 교육과 교사 양성에 헌신하였다.

1949년 12월 『학생문화』[학생문화연구사]에 시 「나」를 발표하며 전라남도 광주 지역 문단에 등장하였으며, 1950년대에서 1970년대에 이르는 동안 여러 신문과 잡지에 동시와 동요, 동극(童劇), 동화를 발표하였다. 1961년 전남아동문학연구회가 창립된 뒤 회장으로 첫 작품집 『꽃동산』[전남아동문학연구회]를 1964년에 발행하였으며, 창작동화집 『꽃씨 뿌리는 마음』과 동요집 『최상옥동요집』을 출간하였다.

최상옥은 어린이들을 위한 여러 문화운동을 전개하였다. 호남어린이사 주최 제1회 '호남어린이종합예술제'를 후원하였으며, 1953년에는 아동들의 개성과 정서 교육을 위해 신생아동문화연구회를 설립하였다. 또한 전남아동문학연구회장으로 1961년 동화구연대회를 열고, 1962년에는 어린이 노래자랑 대회를 개최하였다. 이 밖에도 1963년 5월 14일 광주YWCA에서 개최된 '고(故) 강소천(姜小泉) 선생 추도의 밤'에서는 「소천의 작품세계와 나」라는 글로 아동문학가 강소천의 공적을 기렸으며, '반달할아버지'로 일컬어지는 윤극영(尹克榮)의 회갑을 기념하여 전남아동음악협회의 주최로 1963년 10월 29일 '은하수의 밤'을 열기도 하였다.

전남아동문학연구회장 이외에 전남아동음악협회장과 전남교육협회장, 전국예술단체총연합회 이사 등을 역임하였으며, 1959년 광주공원 어린이헌장탑을 건립하였다. 1977년에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최상옥은 동화집 『꽃씨 뿌리는 마음』과 『최상옥동요집』을 출간하였다. 동화집에는 1953년 2월 8일자 『전남일보』에 실린 첫 동화 「꽃마을」을 비롯하여 4편이 수록되어 있다. 또한 최상옥이 각색한 동화극 『백설공주』는 『광주신보』에 13회에 걸쳐 연재한 1막 5장으로 된 극본으로, 1959년 3월 26일 광주극장에서 신생유치원 어린이들이 주역이 되어 무대에 올려지기도 하였다. 어린이 오페라 「별 삼형제」 3막 4장의 무용과 음악이 조화를 이룬 작품이며, 단막극 「은가락지」는 1953년 광주극장에서 상연되었다. 그 밖에도 아동교육을 주제로 한 칼럼과 『어린이 상담』 39편 등이 있다.

[상훈과 추모]

광주공원 어린이헌장탑 건립과 아동상담소를 개설한 공로로 전라남도 문화상을 수상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