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김언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1795
한자 金彦琚
영어공식명칭 Kim Eongeo
이칭/별칭 계진(季珍),풍영(豊咏),칠계(漆溪),관포당(灌圃堂)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홍창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03년연표보기 - 김언거 출생
활동 시기/일시 1525년 - 김언거 진사 입격
활동 시기/일시 1531년 - 김언거 병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545년 - 김언거 예조좌랑, 정언 등 역임
활동 시기/일시 1545년 - 김언거 사헌부장령 임명
활동 시기/일시 1546년 - 김언거 상주목사 임명
활동 시기/일시 1553년 - 김언거 연안부사 임명
활동 시기/일시 1555년 - 김언거 홍문관교리 임명
활동 시기/일시 1557년 - 김언거 승문원판교 임명
몰년 시기/일시 1584년연표보기 - 김언거 사망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84년 2월 29일 - 풍영정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로 지정
부임|활동지 풍영정(風詠亭) - 광주광역시 광산구 풍영정길 21[신창동 852]지도보기
성격 문관
성별
본관 광산(光山)
대표 관직 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홍문관교리(弘文館校理)|승문원판교(承文院判校)

[정의]

조선 전기 광주 지역 출신으로 사헌부장령, 홍문관교리, 승문원판교 등을 역임한 문신.

[가계]

김언거(金彦琚)[1503~1584]의 본관은 광산(光山)이며, 자는 계진(季珍), 호는 칠계(漆溪)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김사치(金思恥), 할아버지는 김중문(金重文)이며, 아버지 김정(金禎)과 어머니 임숙형(林叔亨)의 딸 사이에서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부인은 김달손(金達孫)의 딸이다.

[활동 사항]

김언거는 1525년(중종 20)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며, 6년 뒤인 1531년(중종 26)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에 12위로 급제하였다. 1545년에 예조좌랑(禮曹佐郎)과 정언을 거쳐 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에 임명되었고, 1555년 홍문관교리(弘文館校理), 1557년 승문원판교(承文院判校) 등의 관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1546년(명종 1)에는 상주목사, 1553년(명종 8)에는 연안부사에 발탁되어 외직으로 나갔으며, 승문원판교를 끝으로 관직 생활을 마감하고 광주 지역으로 내려왔다.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의 기록을 살펴보면 김언거에 대한 평가가 그리 우호적이지 않은데, 이는 당시의 척신 윤원형(尹元衡) 일파에 붙어 물의를 일으켰기 때문으로 보인다. 김언거가 평생 교유한 인물들의 면면이나 활동상 등을 보았을 때 재고의 여지가 있다.

김언거풍영정(風詠亭)을 지은 인물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현재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창동에 있는 풍영정김언거가 1560년(명종 15)에 모든 관직에서 물러난 뒤 내려와 세운 정자로,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이다. 건물 명칭은 『논어(論語)』의 ‘풍우영귀(風雩詠歸)’라는 구절에서 따온 것으로, 정자 안쪽에는 한석봉(韓石奉)이 쓴 ‘제일호산(第一湖山)’이라는 편액이 걸려 있다. 1898년(고종 35)에 중수되었고, 이때 송사(松沙) 기우만(奇宇萬)이 중수기(重修記)를 썼다. 풍영정은 1984년 2월 29일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학문과 저술]

『칠계집(漆溪集)』은 일제 강점기인 1922년에 김언거의 후손들이 김언거의 작품을 수집하여 엮은 문집이다. 2004년에는 김언거와 학문적으로 교류한 인물들과 관련 있는 시문까지 합쳐 번역한 『칠계유집(漆溪遺集)』이 광산김씨 칠계공파 문중에 의해 발간되었다.

풍영정이 건립되자 퇴계 이황을 비롯하여 하서 김인후, 남명 조식, 규암 송인수, 미암 유희춘, 면앙정 송순, 신재 주세붕, 고봉 기대승, 송강 정철, 회재 박광옥 등 당대의 내로라하는 명현들이 방문하여 김언거와 교류하며 학문을 쌓았다. 『칠계집』에는 모두 84명의 교유 인사가 확인되며, 특히 이황과는 40여 수에 가까운 시를 주고받는 등 활발하게 교유하였다. 또한, 풍영정은 건립 당대뿐만 아니라 후대인들의 학문과 문화 교류의 장소로 기능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1798~1879]이 있다. 기정진은 광주 지역과 장성 지역을 중심으로 호남 일대에서 활약하였으며, 기정진과 관련이 있는 문인이 4천여 명에 달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