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3346
한자 文化藝術
영어공식명칭 Culture and Arts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신송

[정의]

광주광역시에 향유되어 오는 미술·음악·영화·무용 등의 분야에서 이루어지는 예술 행위.

[개설]

문화·예술의 도시인 광주광역시에는 다양한 예술가가 있으며, 예술가들을 기리는 축제와 행사, 미술관 등이 있다.

주요 미술인으로는 추상화의 대표 작가 양수아를 비롯하여 오지호, 강용운, 김보현, 배동신 등이 있고, 한국화에서는 남종화의 전통을 잇는 허백련(許百鍊)[1891~1977] 등이 있다.

음악 분야에서는 중국 근·현대 3대 작곡가 중 한 명으로 손꼽히는 정율성(鄭律成)[1914~1976]이 있으며, 정추와 하얀 나비를 부른 김정호가 유명하다.

연극계도 광주연극협회가 과거의 명맥을 이어 가고 있는데, 광주연극제광주국제평화연극제 등이 매년 개최되고 있다. 특히 5.18민주화운동 관련 작품을 통하여 광주광역시의 상처를 치유하고 있다.

영화 분야에서는 광주영화영상인연대광주독립영화협회가 지역을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광주광역시는 2010년부터 매년 광주여성영화제를 개최하여 여성 영화인을 지원하고 있다.

광주는 문화와 예술의 도시인만큼 축제의 도시이기도 하다.

대표적인 축제로 ‘추억의 충장축제’ 외에도 ‘세계청년축제’, ‘광주프린지페스티벌’, ‘칠석고싸움놀이축제’, ‘광주세계김치축제’, ‘영산강 서창들녁 억새축제’, ‘서창만드리풍년제’, ‘조선대장미축제’, ‘어여쁘다 궁동’, ‘굿모닝! 양림’ 등의 축제가 열리고 있다. 미술 분야에서는 광주비엔날레광주디자인비엔날레’, ‘아트피크닉’ 등을 주요 행사로 들 수 있으며, 음악 분야에서는 ‘오월창작가요제, 정율성음악제, 임방울국악제, 무등울림축제 등이 있다.

미술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미술관으로는 광주시립미술관, 무등현대미술관, 국윤미술관, 우제길미술관, 은암미술관, 의재미술관, 주안미술관, 이강하미술관, 시화마을 금봉미술관, 소암미술관, 양림미술관, 한희원미술관, 하정웅미술관 등이 있다.

광주광역시의 문화재는 국가지정문화재[16건], 시지정문화재[93건], 등록문화재[10건] 등으로 구분되어 지정·관리되고 있다.

1. 광주광역시의 국가 지정 문화재

고려시대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전)광주 성거사지 오층석탑’은 보물 제109호로 지정되었다. ‘광주 자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 유물’은 고려시대 목조불상으로 추정된다. 자운사의 ‘복장전적’은 서지학 분야 판본 연구 및 불교학 연구와 불교 미술 도상 연구에 사료적 가치가 높은 유물로 평가되고 있다. 더구나 우리나라의 기후나 환경 여건을 고려할 때 섬유 계열의 유물 유지가 어려운 데도 보존이 잘 되어 있어 직물의 민속·역사적 가치가 높다. ‘광주 지산동 오층석탑’은 통일신라 후기의 석탑이다. ‘무등산 주상절리대’는 중생대 백악기의 화산 활동으로 인한 용암의 냉각·수축과 오랜 세월의 풍화작용이 만들어 낸 자연 예술품이다. 입석대서석대, 규봉으로 이루어져 있다. ‘광주 증심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은 9세기인 통일신라 후기 작품으로 추정되며, 일반적인 비로자나불의 자세 방식과 반대로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광주 신창동 유적’은 국가사적 제375호로 지정되었으며, 2천 년 전 영산강 유역의 철기시대 초기 생활과 문화, 그리고 농경시대 생활사를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사료이다. 1965년 광산김씨 묘 이장 시 출토된 ‘김덕령장군 의복’은 16세기 복식사의 자료이다. 보물 제336호인 고려 후기 ‘정지장군 환삼’은 광주역사민속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고운 묘 출토유물’은 중요민속자료 제239호로서 조선 중기 문장가인 고운의 묘에서 발견된 복식 유물이다. ‘장흥임씨 묘 출토복식’은 김덕령 장군과 같은 시기를 산 조카며느리의 의복으로 임진왜란 전후 중산층과 서민의 복식 문화 및 장례 풍속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이다. ‘광주 약사암 석조여래좌상’은 석굴암 본존불의 특징을 계승한 통일신라의 불상으로 추정된다. 그밖에 국립진주박물관에서 소장·관리하고 있는 나주 출신 ‘금계 노인일기’를 포함하여 국립광주박물관에 있는 ‘광양 중흥산성 쌍사자 석등’, ‘광주 충효동 왕버들 군’과 ‘도요지’, 선비문화의 일부인 ‘광주 환벽당 일원’이 문화재에 속한다. 환벽당은 가사문학관 자미탄다리 왼편 오솔길을 따라가면 있다. 김윤제정철의 이야기로 유명한 환벽당은 푸르름이 사방을 둘렀다는 뜻으로 주변 경관이 수려하다.

2. 광주광역시 지정 문화재

93개의 시지정문화재를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고원희가옥, 광주북동천주교회, 김봉호가옥, 만취정, 명화동장고분, 무양서원, 박용철생가, 범세동선생묘, 병천사, 부용정, 수완동왕버들, 신룡동오층석탑, 약사암, 양과동정, 양송천묘역, 양씨삼강문, 오웬기념각, 오지호가, 용진산마애여래좌상, 용진정사, 우일선선교사사택, 월계동장고분, 이장우가옥, 전남도청회의실, 지산재, 취병조형유허비, 칠석동은행나무, 포충사, 풍암정, 풍영정, 허백련춘설헌, 호가정, 무진고성지, 증심사, 광주읍성유허, 양림동호랑가시나무, 강진김해김씨가상여, 월봉서원, 최승효가옥, 『전라남도도청회의실신축설계도』, 증심사오백전, 가야금병창, 고내상성지, 고봉문집목판, 고씨삼강문, 광산노씨분묘출토명기류, 광산농악[상쇠], 십신사지석불, 십신사지석비, 재명석등, 광주학생독립운동 기념탑[광주제일고등학교], 광주학생독립운동 발상지[전남여자고등학교], 광주향교, 원산동 괘고정수, 금곡동제철유적, 기대승종가소장문적, 김봉선유품, 김용학가옥, 남도창동편제[판소리]), 남도판소리 한애순, 눌재집목판각, 사암집목판각, 삼거동고인돌군, 광주 덕림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만귀정, 분청사기전라도(전라도)명항아리, 석아정오방정현판, 악기장, 『양과동계고문서』, 용두동지석묘, 운림동석실고분, 운천사마애여래좌상, 원효사동부도, 원효사출토유물, 원효사소장만수사범종, 유촌동석조여래좌상, 이신의종가소장고문서, 입석마을입석, 전상의장군예장석묘, 정지장군예장석묘, 제봉문집목판, 증심사삼층석탑, 증심사석조보살입상, 충효동정려비각, 판소리춘향가(동초제), 판소리고법, 포충사소장고경명문적, 필문이선제부조묘, 필장, 학동느티나무, 화담사, 화류소목장, 회재유집목판 등이 있다.

3. 광주광역시의 등록 문화재

등록문화재는 광주 구 수피아여학교 커티스 메모리얼 홀, 광주 장덕동 근대 한옥, 광주 구 수피아여학교 수피아 홀, 광주 구 수피아여학교 윈스브로우 홀, 광주 서석초등학교 본관·별관·체육관, 광주 수창초등학교 본관, 광주교육대학교 본관, 광주 전남대학교 인문대학 1호관, 전남도청회의실, 광주 조선대학교 본관 등이 지정되었으며, 2021년 1월 광주 전남대학교 용봉관이 추가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 『오매광주』(광주광역시청 모바일북, 2021)
  • 광주시립미술관, 『2020 광주미술아카이브전, 양수아』(광주시립미술관, 2020)
  • 광주광역시청(https://www.gwangju.go.kr/index.jsp)
  • 광주세계김치랜선축제(https://www.kimchifestival.co.kr)
  • 광주칠석고싸움놀이(http://www.gossaum.com)
  • 추억의 충장축제(http://www.donggu.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