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1038
한자 武陽書院
영어공식명칭 Muyang Confucian Academy
이칭/별칭 무양사(武陽祠)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광주광역시 광산구 산월로21번길 26[월계동 535-2]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용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927년연표보기 - 무양서원 건립
문화재 지정 일시 1984년 2월 29일연표보기 - 무양서원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제3호 지정
현 소재지 무양서원 - 광주광역시 광산구 산월로21번길 26[월계동 535-2]지도보기
원소재지 무양서원 - 광주광역시 광산구 산월로21번길 26[월계동 535-2]
성격 서원
양식 맞배지붕[무양사]|팔작지붕[이택당]
정면 칸수 3칸[무양사]|5칸[이택당]
측면 칸수 2칸[무양사]|2칸[이택당]
문화재 지정 번호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제3호

[정의]

광주광역시 광산구 월계동에 있는 일제강점기 서원.

[개설]

무양서원은 1927년 탐진최씨(耽津崔氏) 문중이 최씨와 관련된 분들을 제향하기 위해 전국 유림의 호응을 얻어서 세운 서원이다. 배향된 인물은 고려 인종 때 어의이면서 명신인 장경공(莊景公) 최사전(崔思全)을 중심으로 최사전과 관련된 후손 4명, 손암(孫菴) 최윤덕(崔允德), 금남(錦南) 최부(崔溥), 문절공(文節公) 유희춘(柳希春), 충열공 최덕현을 제향하고 있다. 최사전은 고려 인종 때에 활약하였으며 탐진최씨이다. 최윤덕은 고려 말에 영도첨의사(領都僉議事)를 지냈으며, 최부는 조선 성종 때 활동한 인물로 제주도에서 중국을 거쳐 한양까지 표류하면서 겪었던 것을 기록한 『표해록(漂海錄)』으로 유명하며 『동국통감(東國通鑑)』 120권을 편수하였다.

[위치]

광주광역시 광산구 산월로21번길 26[월계동 535-2]에 자리하고 있다.

[변천]

무양서원의 '무양(武陽)'의 명칭은 광주광역시의 옛이름 '무진의 볕' 곧 '무진지양(武珍之陽)'에서 이름을 따 지었다. 매년 음력 9월 6일 제향하고 있다. 1984년 2월 29일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형태]

무양서원은 선인을 배향하는 무양사 오른쪽에 동재인 성지재(誠之齋)와 왼쪽에 서재인 낙호재(樂乎齋)가 있고, 삼오문(三五門)이 있는데 '삼오(三五)'는 삼강오륜(三綱五倫)에서 가져온 것이다.

선인을 배향하는 무양사(武陽祠)는 정면 3칸 측면 2칸, 겹처마의 골기와로 된 맞배지붕 형태이며, 서원은 전학후묘(前學後廟)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아래쪽에 강당인 이택당(以澤堂)이 있고 그 양쪽에 출입문이 있다. 이택당의 구조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단층 골기와 맞배지붕으로 되어 있다.

이 건축물의 특징 중에서 동재인 성지재에 큰북이 있는데 오래 된 사찰에서 가져와서 걸어둔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동재와 서재에 사용한 주춧돌을 보면 역시 절에서 사용하던 다양한 문양의 주춧돌로, 북과 함께 폐사지에서 가져온 것이라고 생각된다.

[현황]

무양서원의 제액(題額)은 완당 김정희(金正喜)가 1810년(순조 10)에 쓴 것으로, 강당과 각 건물의 주련(株聯)에는 많은 시구(詩句)가 있다. 무양서원의 입구에서 보면 돌축대 위에 강당인 이택당의 뒷모습이 높게 보이고, 오른쪽 계단을 올라가면 동쪽을 의미하는 합인문(合仁門)이 있고, 왼쪽은 나오는 문으로 서쪽을 의미하는 합의문(合義門)이 있다. 이것은 유학(儒學)의 근본사상인 인의예지(仁義禮智)를 의미한다. 축대를 높게 하여 건축한 것은 사원 안에 함부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는 의미가 있다고 한다. 안으로 들어가면 솟을대문의 형태를 하고 있는 삼오문의 좌우에 문이 있는데, 각각의 문에는 크고 아름다운 태극문양이 그려져 있다.

강당 앞뜰에는 무양서원묘정비(武陽書院廟庭碑)가 있으며, 비명(碑銘)은 연안(延安) 이병관(李炳觀)이 짓고, 여흥(驪興) 민병승(閔炳承)이 쓴 것으로 다섯 사람의 약력과 최사전의 묘지석(墓誌石)을 1921년 동경제국대학에서 회수하여 온 경위를 적고 있다. 바로 옆에는 제사와 관련하여 다른 서원에서 많이 볼 수 없는 사각형의 돌기둥으로 만든 여생비(麗牲碑)가 세워져 있다.

[의의와 평가]

무양공원 안에 있는 무양서원은 선조들의 정신과 학덕을 기리는 곳으로 주민들의 힐링 장소로 이용되고 있다.

[참고문헌]
  • 『광주시사』(광주광역시사편찬위원회, 1996)
  • 『광주의 문화유적』(광주직할시·향토문화개발협의회, 1990)
  • 두산백과(http://www.doopedia.co.kr)
  • 광주광역시청(https://www.gwangju.go.kr)
  • 네이버(https://search.naver.com)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