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1358
한자 圓潭乃圓僧塔
영어공식명칭 Stupa of Monk Wondam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탑과 부도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무등로 1514-35[금곡동 846]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염승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927년 - 원담 내원 승탑 건립[추정]
현 소재지 원효사 - 광주광역시 북구 무등로 1514-35[금곡동 846]지도보기
성격 부도
관련 인물 원담화상
재질 석재

[정의]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 원효사와 무애암 갈림길에 있는 20세기에 건립된 부도.

[개설]

원담 내원 승탑(圓潭乃圓僧塔)은 탑신의 정면에 '원담화상탑(圓潭和尙塔)'이라는 탑호가 음각되어 있으며, 탑호 좌우에 '삭발본사(削髮本寺) 원효유허(元曉遺墟) 수법회운(受法會雲) 원담승훈(圓潭丞勳) 도기초(道旣超) 적즉연(蹟則然) 탑사흘(塔斯屹) 이난힐(理難詰) 숭정기원후오정묘십일월(崇禎紀元後五丁卯十一月)'이라는 명문(名文)이 음각되어 있다.

원담(圓潭)은 법호(法號)이고, 내원(乃圓)은 법명(法名)이다. '수법회운 원담승훈'이라는 명문을 통하여 원담화상은 회운대사(會雲大師)의 제자임을 알 수 있다. 회운대사는 1789년(정조 13)에 원효사 선방(禪房)을 중창하였으며, 1802년(순조 2)에 원효사 대웅전을 중창하였다.

원담 내원 승탑은 명문에서 알 수 있듯이 '숭정기원후오정묘'에 건립되었으므로 '숭정기원후사정묘(崇禎紀元後四丁卯)', 즉 1867년(고종 5)이 아닌 1927년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위치]

원효사와 무애암(無碍庵) 갈림길에 7기의 부도와 4기의 비가 부도·비군을 이루고 있다. 원효사 부도·비군(元曉寺浮屠碑群)은 왼쪽에서 오른쪽 순으로 팔각원당형(八角圓堂形) 부도, 춘곡거사(春谷居士) 송화식(宋和植) 부도비, 지민당(志敏堂) 부도, 원담화상탑(圓潭和尙塔), 1990년대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팔각원당형 부도, 회운당(會雲堂) 부도, 원효국사탑, 청신녀(淸信女) 금봉화조순임(錦奉華趙順任) 공덕비(功德碑), 일조화상(一鹤和尙) 실적비(實蹟碑), 진성당(眞惺堂) 부도, 금학김규현탑성거사공덕비(金鹤金圭怰塔成居士功德碑)가 있다. 원담 내원 승탑회운당 부도 왼쪽에 있다.

[형태]

원담 내원 승탑은 1927년에 건립된 부도로 원형의 지대석, 방형의 중대석, 반원구형의 상대석, 장방형의 탑신, 방형의 옥개석으로 구성되었다. 처마가 급하게 반전된 옥개석이 인상적이다.

[금석문]

'원담화상탑' 명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삭발본사 원효유허[삭발본사는 원효의 유허이며]

수법회운 원담승훈[회운에게서 법을 받았고 원담이 공훈을 이었도다]

도기초 적즉연[도는 뛰어나고 행적은 그러하여]

탑사흘 이난힐[탑을 이에 우뚝 세우니 이치를 따지기 어렵도다]

[의의와 평가]

원담 내원 승탑은 급하게 반전된 처마가 주목되는 부도로, 전각형(殿閣形) 부도에 속한다. 전각형 부도는 18세기 중반 이후부터 탑신과 옥개석의 평면이 사각인 부도가 나타난다. 이는 해남 미황사(美黃寺)에 건립된 감파당탑(減波堂塔), 설봉당탑(雪峰堂塔), 우봉당탑(牛峰堂塔) 등에서 살펴볼 수 있다. 미황사 부도들은 감파당탑만 1737년(영조 13)에 건립되었으며, 나머지 부도는 모두 18세기 중반 이후에 건립되었다.

원담 내원 승탑과 관련된 기록들을 살펴보면, 원담화상의 내력과 승탑의 건립 연도, 승탑의 성격에 혼선이 있다. 『조선사찰사료(朝鮮寺刹史料)』에는 원담화상은 회운대사의 제자로 1831년(순조 31)에 법당을 중수하였고, 1847년(헌종 13)에 칠성전(七星殿)을 건립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그러나 원효사에 있는 사료에는 1927년에 원담대사(圓潭大師)가 사찰을 중수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따라서 승탑의 건립 연도는 좀 더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