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회갑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6289
한자 回甲歌
영어공식명칭 Hoegapga|Song of the 60th Birthday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서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1989년 5월 20일 - 「회갑가」 대구직할시 수성구 연호동에서 채록
채록지 「회갑가」 채록지 - 대구광역시 수성구 연호동 지도보기
가창권역 대구광역시 - 대구광역시
성격 민요
기능 구분 가창 유희요
형식 구분 독창 형식
가창자/시연자 박임술

[정의]

대구광역시에서 전승되는 유희요.

[개설]

대구광역시에서 전승되는 「회갑가」는 만 60세가 되는 회갑, 즉 환갑을 맞아 무병장수를 축하하는 잔치에서 부르는 유희요이다. 회갑을 맞은 주인공이 부르던 노래이다.

[채록/수집 상황]

2001년 출판된 김광순의 저서 『한국구비문학』 제1권에 따르면 1989년 5월 20일 대구직할시 수성구 연호동[지금의 대구광역시 수성구 연호동]에서 가창자 박임술로부터 「회갑가」가 채록되었다.

[구성 및 형식]

「회갑가」는 독창 형식으로 부른다.

[내용]

일반적으로는 「회갑가」는 회갑이 된 부모가 자식들에 대한 사랑과 희망을 담아 부르는 것이 일반적인데, 연호동에서 채록된 「회갑가」는 길이가 짧고 내용이 단순하게 구성되어 있다. 사설은 다음과 같다.

“일월군자 내 아들아/ 산대유전 내 며느라/ 세빌군자 내 손주야/ 여종일생 나의 딸아/ 동방화초 내 사위야/ 술과 안주 적거들랑/ 톨톨이를 잡아 놓고/ 유쾌하게 놀아 주오.”

[의의와 평가]

일반적으로 「회갑가」는 쉽게 채록되는 민요가 아니다. 그런 면에서 대구광역시에서 전승되는 「회갑가」는 사설의 길이와 내용이 단순하지만 지역에서 불렸다는 점에서 자료적 가치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