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박태철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2670
한자 朴泰哲
영어공식명칭 Park Taecheol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일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18년 12월 10일연표보기 - 박태철 출생
수학 시기/일시 1933년 - 박태철 대구공립농업학교 입학
수학 시기/일시 1938년 3월 - 박태철 대구공립농업학교 졸업
활동 시기/일시 1941년 - 박태철 조선기계제작소 입사
활동 시기/일시 1943년 - 박태철 『목양』 발행
활동 시기/일시 1945년 5월 14일 - 박태철 경성지방법원에서 징역 1년형 언도
몰년 시기/일시 2014년 7월 14일연표보기 - 박태철 사망
출생지 입암리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죽장면 입암리
거주|이주지 남산동 -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 지도보기
거주|이주지 인천 - 인천광역시
학교|수학지 대구공립농업학교 - 대구광역시 지도보기
활동지 인천 - 인천광역시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남성
대표 경력 조선기계제작소 기술원

[정의]

일제강점기 대구 출신의 독립운동가.

[개설]

박태철(朴泰哲)[1918~2014]은 박태철은 1918년 12월 10일 지금의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죽장면 입암리에서 박종석(朴鍾錫)의 아들로 태어났다. 조선기계제작소에 근무하던 1943년 한글 문학작품을 엮은 『목양(牧羊)』을 발행하였다.

[활동 사항]

박태철은 1925년 영일군[현 포항시] 기준공립보통학교에 입학하였으나 1927년 대구로 이사하면서 전학하였다. 1933년 대구공립농업학교에 입학하여 1938년 3월 졸업하였다. 이후 금융조합연합회에서 교육을 받은 후 7월에 대구 검사동에 있던 동촌금융조합의 서기가 되었다. 1940년 11월 경상북도지사의 추천으로 일본 도쿄[東京]의 상공성 기계기술원양성소 사상공과에 입소하였고, 1941년 12월부터는 인천 조선기계제작소 기술원으로 종사하였다.

박태철은 1941년 대구에서 김은도(金恩道)를 만나 독립운동을 전개하기로 결의하였다. 1943년 7월 조선기계제작소에서 노명일(盧明一)·임창빈(任昌彬)·이도열(李道烈)에게 한글 문학작품을 모은 책자 발간을 제의하여 동의를 얻었고, 10월 중순 『목양』 1호를 발행하였다. 모두 5부를 제작하였는데 네 명이 한 권씩 나누어 가지고, 남은 한 권은 목뢰병원 간호사 박효순(朴孝順)에게 주었다. ‘목양’의 의미는 “조선인은 놓아둔 양과 같은 상태이나 양이 목자의 지도에 따르는 것과 같이 적당한 지도가 있다면 독립을 위하여 궐기할 수 있다.”라는 뜻이었다.

박태철은 『목양』 2호의 발간을 준비하던 중 일제 경찰에게 체포되었다. 1945년 5월 14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징역 1년형을 언도받고 옥고를 치르다가 광복을 맞이하였다. 박태철은 2014년 7월 14일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박태철의 공적을 기려 1999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