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2620
한자 柳相駿
영어공식명칭 Ryu Sangjun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장세윤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90년 2월 29일연표보기 - 류상준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20년 - 류상준 흠치교 입교
활동 시기/일시 1921년 7월 11일 - 류상준 대구지방법원 안동지청에서 징역 2년형 언도
활동 시기/일시 1921년 11월 26일 - 류상준 대구복심법원에서 항소 기각
활동 시기/일시 1922년 2월 27일 - 류상준 대구고등법원에서 상고 기각으로 형 확정
몰년 시기/일시 1951년 2월 20일연표보기 - 류상준 사망
추모 시기/일시 2009년연표보기 - 류상준 건국포장 추서
출생지 검사동 - 대구광역시 동구 검사동 지도보기
거주|이주지 대구 - 대구광역시
활동지 대구 - 대구광역시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남성
대표 경력 흠치교 12인조

[정의]

일제강점기 대구 출신의 독립운동가.

[개설]

류상준(柳相駿)[1890~1951]은 1890년 2월 29일 지금의 대구광역시 동구 검사동에서 태어났다. 1920년 신흥종교 흠치교(吽哆敎)에 입교하여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활동 사항]

류상준은 1920년 9월경 지금의 동구 일대에서 차경석(車京錫)을 교주로 하는 신흥종교 흠치교에 가입하였다. 흠치교 신도들은 겉으로 종교 활동을 표방하였으나, 실제로는 국권회복운동에 진력하기로 결의하였다. 흠치교는 교주 밑에 60인의 고문을 두고, 각 고문 밑에 6인조, 6인조 밑에 각 12인조, 12인조 밑에 각 8인조, 8인조 밑에 각 15인조 등을 두는 조직 체계를 구성하였다. 훔치교 신도들은 1924년 이른바 ‘갑자(甲子)해’에 흠치교의 힘으로 식민지 조선이 독립이 될 것이라고 선전하면서 자금 모집 및 교세 확장에 힘썼다. 이때 류상준은 12인조의 한 사람으로 활동하다가 일제 경찰에게 발각되어 체포되었다.

류상준은 1921년 7월 11일 대구지방법원 안동지청에서 「제령 제7호」 위반 혐의로 징역 2년형을 언도받았고, 11월 26일 대구복심법원에서 열린 항소심에서 1심형이 확정되었다. 류상준은 이에 불복하여 상고하였으나, 1922년 2월 27일 대구고등법원에서 상고가 기각되어 옥고를 치렀다. 류상준은 1951년 2월 20일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류상준의 공적을 기려 2009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독립유공자공훈록』 18(국가보훈처, 2010)
  • 『경북독립운동사』 6(안동대학교 안동문화연구소·안동독립운동기념관, 경상북도, 2014)
  • 「판결문」(대구지방법원 안동지청, 1921. 7. 8.)
  • 「판결문」(대구복심법원, 1921. 11. 26.)
  • 「판결문」(대구고등법원, 1922. 2. 27.)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