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역사 앞에서』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8045
한자 歷史 -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종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913년 - 『역사 앞에서』 저자 김성칠 출생
저술|창작|발표 시기/일시 1945년 12월 1일연표보기 - 『역사 앞에서』 창작 시작
저술|창작|발표 시기/일시 1951년 4월 8일연표보기 - 『역사 앞에서』 창작 종료
저자 몰년 시기/일시 1951년 10월 8일 - 『역사 앞에서』 저자 김성칠 사망
편찬|간행 시기/일시 1993년연표보기 - 『역사 앞에서』 발행
성격 산문집
작가 김성칠

[정의]

1993년 출간된 대구고등보통학교 출신 역사학자인 김성칠의 산문집.

[개설]

『역사 앞에서』는 역사학자 김성칠(金聖七)[1913~1951]이 1945년 12월 1일부터 1951년 4월 8일까지 쓴 일기문을 엮은 산문집이다. 1993년 창작과비평사에서 출간하였다.

[구성]

『역사 앞에서』김성칠의 일기문으로 본문이 구성되어 있다. 서문은 신경림(申庚林)[1936~ ]이 썼고, 책의 말미에 추모글과 연보가 첨부되어 있다. 추모글로는 고병익(高柄翊)[1924~2004]의 「동양사 연구실과 김성칠 선생」, 정기돈(鄭起燉)의 「군계일학의 외삼촌」, 강신향의 「사람답게 사는 길」, 이남덕(李男德)[1920~2012]의 「조국 수난의 동반자」 등이 실려 있다.

[내용]

『역사 앞에서』는 해방 직후부터 6·25전쟁 시기까지 김성칠의 개인적인 기록이다. 김성칠의 시국관과 문화 의식, 양심적인 지식인의 고뇌와 방황 등이 잘 드러나 있어 개인의 기록이지만 사료적 가치가 높다. 산골 마을 인민위원회 선거 장면, 괴나리봇짐에 있는 소총 한 자루로 미군의 기계화 부대와 맞서 싸워야 하는 인민군, 치열한 시가전과 미군에 의한 소탕전, 인민군 유격대의 기습, 폐허가 된 서울의 모습 등은 개인적인 차원에서 기록한 미시적 사건이지만, 당대의 사회문화적 환경과 추상적으로 인식하고 있던 사회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기록들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