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장향대구근친 유조령」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6688
한자 將向大丘覲親 踰鳥嶺
영어공식명칭 Write A Poem On Joryeong On The Way To Daegu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곽명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420년 - 「장향대구근친 유조령」 저자 서거정 출생
저자 몰년 시기/일시 1488년 - 「장향대구근친 유조령」 저자 서거정 사망
편찬|간행 시기/일시 1705년 - 『사가집』에 「장향대구근친 유조령」 수록하여 간행
배경 지역 구암서원 - 대구광역시 북구 연암공원로17길 20[산격동 산79-1]지도보기
배경 지역 조령 - 충청북도 괴산군|경상북도 문경시
성격 한시|칠언절구
작가 서거정

[정의]

조선 전기 대구 출신의 문신 서거정이 부모님 봉양을 위하여 대구로 향하다가 조령을 넘으면서 지은 한시.

[개설]

「장향대구근친 유조령(將向大丘覲親踰鳥嶺)」의 저자 서거정(徐居正)[1420~1488]의 본관은 달성(達城)이고, 자는 강중(剛中)·자원(子元)이며, 호는 사가정(四佳亭) 혹은 정정정(亭亭亭)이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아버지는 서미성(徐彌性)이고, 어머니는 권근(權近)의 딸이다. 1438년(세종 20)에 생원시·진사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에 들어갔고, 1444년(세종 26)에 문과에 합격한 이후로 집현전박사(集賢殿博士), 집현전응교(集賢殿應敎), 홍문관대제학(弘文館大提學), 세자 이사(世子貳師) 등을 거치면서 조선 전기의 문병(文柄)을 장악하였다. 국가의 편찬 사업을 주도하여 『동국통감(東國通鑑)』·『동국여지승람(東國與地勝覽)』·『동문선(東文選)』·『경국대전(經國大典)』·『연주시격언해(聯珠詩格言解)』 등을 공동 편찬하였다. 저서로 『사가집(四佳集)』이 있다.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 구암서원(龜巖書院)에 제향되었다.

「장향대구근친 유조령」서거정이 부모님 봉양을 위하여 대구로 향하다가 조령을 넘으면서 지었으며, 하위지(河緯地)[1412~1456]가 지은 「송서강중형제영친귀대구(送徐剛中兄弟榮親歸大丘)」와 제작 시기가 일치한다.

[구성]

「장향대구근친 유조령」은 칠언절구(七言絕句)이다.

[내용]

기구조령사양장(崎嶇鳥嶺似羊腸)[험준한 조령의 산길은 양의 창자처럼 꼬불꼬불]

수마릉긍보보강(瘦馬凌兢步步僵)[벌벌 떠는 파리한 말은 걸음걸음마다 넘어지네]

위보행인막상원(爲報行人莫相怨)[행인들에게 알리노니 나를 원망하지 말게나]

욕등고처망오향(欲登高處望吾鄕)[높은 곳에 올라 내 고향 빨리 보고파서라네]

[특징]

「장향대구근친 유조령」은 ‘양(陽)’ 계열의 운자를 사용한 칠언절구이다.

[의의와 평가]

「장향대구근친 유조령」은 시어와 구의 배치가 절묘하다. 1행과 2행에서는 조령 고개의 험준한 산세에 지치고 파리한 말의 모습을 형언하고, 3행과 4행에서는 고향에 대한 그리움으로 인하여 주변을 재촉하는 모습을 묘사하여 그리움의 정서를 극대화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