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2517
한자 金東史
영어공식명칭 Kim Dongsa
이칭/별칭 김득룡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예술인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류덕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19년 1월 24일연표보기 - 김동사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46년 - 김동사 죽순 동인 참여
활동 시기/일시 1950년 7월 - 김동사 문총구국대 경북지대 단원 활동
활동 시기/일시 1952년 12월 2일~12월 7일 - 김동사 『영남일보』에 『체온』[전6회] 연재
활동 시기/일시 1953년 9월 19일~11월 17일 - 김동사 『영남일보』에 『애정범선(愛情帆船)』[전54회] 연재
활동 시기/일시 1955년 - 김동사 대구일보 서울지사장 역임
몰년 시기/일시 1995년연표보기 - 김동사 사망
학교|수학지 계성학교 - 대구광역시 지도보기
학교|수학지 요코하마전문학교 - 일본
활동지 대구 - 대구광역시
성격 시인|소설가
성별 남성
대표 경력 죽순 동인

[정의]

대구에서 활동한 언론인 출신의 작가.

[개설]

김동사(金東史)[1919~1995]는 1919년 1월 24일에 태어났다. 원래 이름은 김득룡이다. 대구 계성학교를 졸업한 뒤 일본으로 유학하여 요코하마[橫浜]전문학교를 중퇴하였다. 1946년 이윤수 등과 함께 『죽순』 동인으로 활동하였다.

[활동 사항]

김동사『영남일보』 사회부장과 서울분실장, 『대구일보』 서울지국장을 지냈다. 한국전쟁 중인 1950년 7월 문청구국대(文總救國隊) 경북지대 단원으로 활동하였다. 상고예술학원(尙古藝術學院) 상임이사를 지내면서 『영남일보』에 『체온』[전6회][1952. 12. 2.~1952. 12. 7.]과 『애정범선(愛情帆船)』[전54회][1953. 9. 19~1953. 11. 17.]을 연재하였다. 1955년 『대구일보』 서울지사장을 역임하였다.

김동사는 1995년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김동사는 『자유춘추』 주간, 『서라벌』 편집장 등을 지내며 문학잡지 편찬에 힘을 쏟았고, 1946년에 시집 『향촌묵묘(鄕村黙描)』를 출간하였다. 이후 『바다여 말하라』[1947], 『창백한 무사』[1947], 『다시 봄』[1948], 『그날』[1949], 『몽녀』[1960] 등의 작품을 연이어 발표하였다. 첫 소설집 『사랑의 풍문』[1957]과 자전적 소설 『나를 찾는 고독한 재출발』[1985]을 발행하였다. 번역서 『알프스의 소녀』[1960]·『카네기 인생론』[1983]·『한밤의 명상』[1983]·『임어당 인생론』[1984] 등과 수필집 『연산연인(戀山戀人)』[1977]·『속된 인간문화 타령』[1990] 등이 있다.

[상훈과 추모]

김동사는 1955년 제1회 경북문학상을 수상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