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2375
한자 鄭汝康
영어공식명칭 Jeong Yeogang
이칭/별칭 치상(致祥),행정(杏亭)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도성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41년연표보기 - 정여강 출생
활동 시기/일시 1592년 - 정여강 의병 봉기
몰년 시기/일시 1593년연표보기 - 정여강 사망
추모 시기/일시 1860년 - 정여강 가선대부 병조참판 겸 동지의금부사로 추증
출생지 하빈 -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지도보기
거주|이주지 하빈 -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지도보기
수학|강학지 대구 - 대구광역시
묘소|단소 정여강 묘소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학명리
사당|배향지 임란호국영남충의단 - 대구광역시 동구 효목동 산234-35 지도보기
사당|배향지 존경당 -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연호리
사당|배향지 존경당 -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연호리
성격 의병
성별 남성
본관 동래(東萊)
대표 관직|경력 대구부 관군 우위장

[정의]

조선 후기 대구 출신의 의병장.

[가계]

정여강(鄭汝康)[1541~1593]의 본관은 동래(東萊)이며, 자는 치상(致祥), 호는 행정(杏亭)이다. 좌찬성 정구(鄭矩)의 후손으로, 할아버지는 정세온(鄭世溫)이다. 아버지는 정사주(鄭師周)이고, 어머니는 광주김씨(廣州金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수성나씨(壽城羅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서산류씨(瑞山柳氏)이다. 아들은 정용(鄭鏞)·정수(鄭錘)·정횡(鄭鋐)·정선(鄭銑)·정현(鄭鉉)이다.

[활동 사항]

정여강은 1541년(중종 36) 지금의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에서 태어났다. 어릴 때부터 활쏘기 등 무예를 좋아하였다고 한다. 1599년 어머니가 사망하여 시묘살이를 하는 중에 종숙 임하(林下) 정사철(鄭師哲)[1530~1593]에게서 『소학(小學)』을 공부하였다. 이후에 사서(四書) 등 유학의 경전 공부에 전념하였는데, 특히 『소학』으로서 자신을 규율하였다.

정여강은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정사철과 더불어 고을의 장정과 노복을 모아 의병을 일으켰다. 대구와 성주를 잇는 교통로인 마천산 일대에서 복병전을 펼쳐 많은 왜군을 죽였으며, 7월에는 금호진(琴湖津) 전투에서 크게 승리하였다. 이후에 대구부사 윤현(尹睍)이 이끌던 관군의 우위장(右衛將)이 되어 팔공산 부인사(符仁寺) 아래 배연촌(背淵村)에 있던 의병과 협력하여 많은 전과를 올렸다. 1593년 1월 하순 진중(陳中)에서 병을 얻었는데 조리를 하지 못하고 군무를 수행하다가 병세가 악화되어 하빈의 집으로 돌아왔다. 1593년 2월 1일에 사망하였다.

[묘소]

정여강의 묘소는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학명리에 있다.

[상훈과 추모]

정여강은 원종훈(原從勳)에 녹훈되었고, 1860년(철종 11) 12월 20일 가선대부 병조참판 겸 동지의금부사로 추증되었다. 1859년부터 불천위(不遷位)로 제향되고 있으며, 수성구 만촌동의 충의당(忠義堂)에 배향되었다.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연호리 존경당에 신도비가 있으며, 동구 효목동 산234-35 망우당공원 내에 있는 임란호국영남충의단(壬亂護國嶺南忠義壇) 향사에 배향되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