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해동지도』 「경산현지도」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0851
한자 海東地圖 慶山縣地圖
영어공식명칭 Map of Gyeongsan-hyeon in Haedongjido
분야 지리/인문 지리,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류명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08년 12월 22일 - 『해동지도』 보물 제1591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6월 29일 - 『해동지도』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문화재 지정 번호 삭제
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성격 지도
권책 8책
규격 47.0×30.5㎝
문화재 지정 번호 보물[『해동여지도』]

[정의]

조선 후기에 제작된 『해동지도』에 수록된 경상도 경산현의 지도.

[편찬/간행 경위]

『해동지도(海東地圖)』 「경산현지도(慶山縣地圖)」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해동지도』[古大4709-41] 제5책에 수록되어 있다. 『해동지도』는 370종의 회화식 지도를 수록한 관찬(官撰) 군현지도책이다. 수록된 군현지도의 내용은 대체로 1748년에서 1750년까지의 상황이 반영되어 있고, 일부 군현지도에 비변사지도를 참조하였다는 쪽지가 첨부되어 있어 1750년대 초에 비변사에서 제작한 지도를 참고하여 편찬한 것으로 추정된다.

[형태/서지]

『해동지도』 「경산현지도」 의 크기는 세로 47.0㎝, 가로 30.5㎝이다. 지도의 여백에 주기(註記)가 기록되어 있다. 지도의 아래쪽이 북쪽이고, 위쪽이 남쪽이다.

[구성/내용]

『해동지도』 「경산현지도」 의 읍치에는 성곽 모양을 표시한 방형의 읍성을 배치하였으며, 그 안에 객사·아사·연못·진옥루 등이 그려져 있다. 읍성의 남동쪽에는 향교와 성황단, 서쪽에는 옥산과 사직단·봉수, 북동쪽에는 여제단이 있다. 도로는 적색 실선으로 표시하였는데, 읍성에서 눌현·장현 등을 거쳐 대구, 송정현을 거쳐 청도, 이어현을 거쳐 밀양, 고리현·구현 등을 거쳐 자인과 연결된다.

방리는 현재 경상북도 경산시 시내 지역인 읍내면, 경산시 압량읍 지역인 동면, 경산시 남천면 지역인 남면, 대구광역시 수성구에 편입된 서면, 대구광역시 동구에 편입된 북면이 기재되어 있다.

산줄기는 ‘∧’ 모양으로 중첩되게 표현하였는데, 북쪽은 팔공산에서 뻗은 줄기가 경계를 이룬다. 서쪽 경계에는 금정산·동학산, 남쪽 경계에는 마암산, 동쪽 경계에는 현성산 등이 있다. 하천은 읍성의 북쪽으로 금호강이 흐르며, 경산현의 남쪽에서 읍성 서쪽을 지나 북류하는 남천과 자인현에서 흘러오는 오목천이 금호강의 지류를 이룬다.

서원은 현재 대구광역시 수성구 성동에 있는 고산서원이 있고, 사찰은 경흥사·쌍계사·안흥사가 있다.

주기는 호구, 원전답, 곡물총수, 군병총수, 산천, 사계(四界), 군명, 건치연혁, 고적, 봉수, 역원, 방리, 경도까지의 거리, 불우, 토산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해동지도』영조대 제작된 회화식 지도를 중앙에서 집대성한 군현지도책이다. 『해동지도』는 2008년 12월 22일 보물 제1591호로 지정되었다. 그 후 2021년 6월 2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해동지도』 「경산현지도」 는 지도와 함께 경산현의 지지가 수록되어 있어 18세기 중엽 경산 지역의 현황을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
관련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