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연원 사인요곽익보」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6442
한자 在硏院 使人邀郭益甫
영어공식명칭 A Poem Written While Waiting For Kwak Ik-bo At Yeongyeongseowon
이칭/별칭 「연경서원에 있다가 사람을 보내 곽익보를 맞이하다」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대구광역시 수성구|북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박영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553년 - 「재연원 사인요곽익보」 저자 손처눌 출생
저자 몰년 시기/일시 1634년 - 「재연원 사인요곽익보」 저자 손처눌 사망
편찬|간행 시기/일시 1784년 - 『모당집』에 「재연원 사인요곽익보」 수록하여 간행
배경 지역 연경서원 - 대구광역시 북구 연경동 지도보기
배경 지역 청호서원 - 대구광역시 수성구 청호로 250-11[황금동 산79-4]지도보기
성격 한시|오언율시
작가 손처눌

[정의]

조선 후기 대구 지역에서 강학 활동과 의병 활동을 한 손처눌연경서원에서 곽재겸을 기다리면서 지은 한시.

[개설]

「재연원 사인요곽익보(在硏院 使人邀郭益甫)」의 저자 손처눌(孫處訥)[1553~1634]의 본관은 일직(一直)이며, 자는 기도(幾道)이고, 호는 모당(慕堂)이다. 아버지는 손수(孫遂)이고, 어머니는 한산이씨(韓山李氏) 이탄(李坦)의 딸이다. 정구(鄭逑)[1543~1620]의 문인이다. 장현광(張顯光)[1554~1637], 서사원(徐思遠)[1550~1615], 곽재겸(郭再謙)[1547~1615], 류요신(柳堯臣)[1550~1618] 등과 교유하였다. 학문과 효행으로 이름이 높았다. 임진왜란[1592]이 발발하자 대구의 지역 인사들과 공산의진군(公山義陣軍)을 조직하여 왜적을 물리치는 데 큰 공을 세웠다. 서사원과 함께 대구 지역의 강학 활동에 힘써 대구 문풍(文風) 발전에 이바지하였다. 대구광역시 수성구 황금동청호서원(靑湖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 『모당집(慕堂集)』이 있다.

곽재겸(郭再謙)[1547~1615]은 조선 후기 의병장이며, 호는 괴헌(槐軒)이고, 자는 익보(益甫)이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초유사(招諭使) 김성일(金誠一)[1538~1593]을 찾아가 모병과 군량 수집에 많은 방략(方略)을 제시하였다. 1597년 정유재란[1597] 때 의병을 이끌고 화왕산성(火旺山城)에 들어가 사촌 동생 곽재우(郭再祐)[1552~1617]와 함께 적을 방어하고 부호군(副護軍)에 임명되었다. 정유재란이 끝나고 향리에서 후진 양성에 힘썼다. 대구의 유호서원(柳湖書院)에 제향되었다.

「재연원 사인요곽익보」는 비 오는 날 손처눌연경서원(硏經書院)에 있을 때, 곽재겸을 기다리면서 지은 한시이다. 이날 손처눌은 동생인 손처약(孫處約)에게도 편지를 보내어 답장을 기다리고 있었다. 2001년 발행한 『국역 모당선생문집(國譯慕堂先生文集)』에서는 쉬운 우리말로 제목을 풀이하여 「연경서원에 있다가 사람을 보내 곽익보를 맞이하다」라고 표기하였다

[구성]

「재연원 사인요곽익보」는 오언율시(五言律詩)이다.

[내용]

생화건곤의(生化乾坤意)[생성변화는 천지의 오묘한 뜻이라]

잠수세우최(潛隨細雨催)[가만히 가랑비 따르며 재촉하여 보네]

매전옥모소(梅全玉貌笑)[매화는 백옥 얼굴로 미소 지으니]

류역벽미개(柳亦碧眉開)[버들도 함께 푸른 눈썹 펼치는구나]

기제재서문(寄弟裁書問)[아우에게 안부 묻는 편지도 보내고]

사인대사회(思人待使迴)[그리운 생각으로 심부름꾼 기다리네]

산요일선로(山腰一線路)[산허리로 이어진 가는 한 가닥 길을]

빈망기배회(頻望起徘徊)[몇 번이고 바라보며 일어나 배회하네]

[특징]

「재연원 사인요곽익보」는 ‘회(灰)’ 계열의 운목이 사용된 오언율시이다.

[의의와 평가]

「재연원 사인요곽익보」는 시어의 대우(對偶)가 정연한 오언율시이다. ‘생(生)’은 성함을 뜻하고 ‘화(化)’는 쇠함을 뜻한다. ‘생’과 ‘화’는 ‘건곤(乾坤)’이 나타내는 음양의 이치와도 통한다. 수련(首聯)에서 ‘생화’와 ‘건곤’의 이치를 말하고, 이어지는 함련(頷聯)에서 가랑비에 잔뜩 젖은 자연을 생동감 있게 표현하였다. 경련(頸聯)과 미련(尾聯)에서는 동생에게 보낸 편지의 답장과 곽재겸을 기다리는 자신의 애탄 심정을 말하며 생동하는 자연의 모습과 배치시켰다. 가랑비 오는 봄 경치를 자연의 이치와 자신의 심정을 대비하여 절묘하게 표현한 작품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