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전소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819
한자 趙全素
영어공식명칭 Jo Jeonso
이칭/별칭 자현(子玄),후포(后浦)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근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601년연표보기 - 조전소 출생
활동 시기/일시 1624년 - 조전소 진사시 합격
활동 시기/일시 1631년 - 조전소 내시교관 역임
활동 시기/일시 1639년 - 조전소 식년시 문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640년 - 조전소 승문원정자 역임
활동 시기/일시 1640년 - 조전소 성균관 전적 역임
활동 시기/일시 1640년 - 조전소 병조정랑 역임
활동 시기/일시 1640년 - 조전소 세자시강원사서 역임
활동 시기/일시 1641년 - 조전소 성균관전적 역임
활동 시기/일시 1642년 - 조전소 사간원정언 역임
활동 시기/일시 1642년 - 조전소 사헌부지평 역임
활동 시기/일시 1645년 - 조전소 세자시강원필선 제수
몰년 시기/일시 1645년연표보기 - 조전소 사망
출생지 임천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지도보기
부임|활동지 선양 - 중국 랴오닝성 선양시
성격 문신
성별 남성
본관 풍양(豐壤)
대표 관직 세자시강원필선

[정의]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문신.

[가계]

조전소(趙全素)[1601~1645]의 본관은 풍양(豐壤)이며, 자는 자현(子玄), 호는 후포(后浦)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조경(趙硬)이고, 할아버지는 조희윤(趙希尹)이다. 아버지는 목사 조박(趙璞)이고, 어머니는 홍준(洪遵)의 딸 남양 홍씨(南陽 洪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홍득일(洪得一)의 딸 남양 홍씨(南陽 洪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강위흥(姜渭興)의 딸 진주 강씨(晉州 姜氏)이다. 아들은 조시대(趙始大)·조시구(趙始久)이고, 동생은 조중소(趙重素)·조견소(趙見素)이다.

[활동 사항]

조전소는 1601년(선조 34) 부여 임천[현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에서 태어났다. 1624년(인조 2) 진사시에 합격한 뒤 1626년 별시 문과에 급제하였으나, 당시 급제자 명단에 시험관인 명관(命官)과 고관(考官)의 자손이 다수 포함되자 사헌부에서 문제를 제기하여 파방(罷榜)되었다. 이후 내시교관으로 활동하다가 1631년에 그만두고 임천으로 낙향하였다.

조전소는 1639년 식년시 문과에 급제하였고, 1640년에는 승문원정자·성균관전적·병조정랑을 거쳐 세자시강원사서로서 심양관(瀋陽館)에서 소현세자(昭顯世子)를 수행하였다. 이후 소현세자의 명으로 몇 차례 조선에 들어와 인조(仁祖)에게 문안하기도 하였다. 1642년 귀국한 뒤에는 사간원정언·사헌부지평·용양위부사직 등을 역임하였다, 1645년 세자시강원필선에 제수되었으나 병이 들어 나아가지 못하고 투병하다가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조전소의 저술로는 『후포유고(后浦遺稿)』가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