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977
한자 行政
영어공식명칭 Public Administration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행묵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에서 공익 실현을 위하여 이루어지는 공공 정책의 합리적인 형성과 집행 과정.

[개설]

행정(行政)의 사전적 정의는 국가의 통치 작용 중 입법·사법 작용을 제외한 국가 작용이고, 형식적인 의미는 실정법에 의하여 행정부의 권한으로 되어 있는 작용 전체를 일컫는다. 현대 행정의 방향성은 국민의 일상생활 전반에 보다 적극적으로 기여하는 방향으로 설정되어 행정의 역할과 범위가 확대되었다. 따라서 현대 행정은 사회 간접 자본 시설을 제공하고 문화 시설을 확충하는 등 공익 실현을 목적으로 한 공공 문제 해결 및 공공 서비스의 생산 및 분배와 관련된 중앙 정부 혹은 지방 자치 단체의 제반 정책 형성 및 집행 활동으로 볼 수 있다.

[부여군 현황]

1. 면적 및 인구

부여군의 총면적은 2022년 1월 말 기준으로 624.5㎢이며 지역별 면적은 은산면이 69.49㎢로 가장 넓고 남면이 20.98㎢로 가장 좁다. 총 인구 수는 2023년 4월 현재 6만 1903명[남자 3만 789명, 여자 3만 1114명]이며 세대 수는 3만 2863세대이다. 지역별 인구는 부여읍이 1만 8842명으로 가장 많고, 그다음으로는 규암면 1만 1752명, 은산면 3,590명, 세도면 2,991명, 석성면 2,734명, 임천면 2,728명, 외산면 2,252명, 구룡면 2,249명 등의 순이다. 인구가 가장 적은 지역은 충화면이며 1,092명이다.

2. 행정 구역

조선 시대 부여군의 행정 구역은 부여현, 임천군, 홍산현, 석성현으로 나뉘어져 있었다. 조선 후기 부여군의 행정 구역을 면리별로 살펴보면 부여현은 10면 137개 리, 임천군은 20면 115개 리, 홍산현은 9면 128개 리, 석성현은 9면 39개 리로 편제되어 있었다. 이후 1964년에 통합된 행정 구역을 면리별로 살펴보면 부여읍은 21개 리, 규암면은 19개 리, 은산면은 17개 리, 외산면은 13개 리, 내산면은 10개 리, 구룡면은 10개 리, 홍산면은 10개 리, 옥산면은 11개 리, 남면은 9개 리, 충화면은 9개 리, 양화면은 12개 리, 임천면은 11개 리, 장암면은 11개 리, 세도면은 10개 리, 석성면은 7개 리, 초촌면은 11개 리로 편제되어 있었다. 2023년 현재는 1읍 15면 191개 법정리로 편제되어 있다.

3. 행정 조직 및 공무원

부여군은 생산적이고 능률적인 행정 활동을 위하여 행정 조직을 지속적으로 개편하여 왔다. 부여군의 행정 조직의 변화 과정을 개략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965년 군수 아래 1실 3과, 1보건소, 1지도소, 1읍 15면으로 구성되어 있던 조직이 부군수 제도의 신설과 기획 기능의 강화에 따라 1975년에는 2실 7과, 1보건소, 1지도소, 1읍 15면으로 확대되었다.

1990년에는 2실 14과, 1지도소, 1보건소, 1사업소, 1읍 15면으로 변화하였는데, 특히 농촌 지도소의 확대 및 부군수 직속 기관화가 두드러졌다. 1997년 이후 IMF로 인한 구조 조정을 거쳐 2000년에는 2실 9과로 축소되었다. 2014년에 조직 개편이 이루어지면서 14과에서 1개 과를 축소하고 1담당관제를 신설하였다. 또한 주민생활지원과와 사회복지과를 ‘가족행복지원실’로 변경·강화함으로써 ‘가족 행복 건강 도시’ 조성 의지를 반영하였다.

또한 미래 전략 프로젝트 개발과 투자 유치, 귀농 지원 강화를 위하여 ‘미래전략담당관’과 굿뜨래 제2 창업의 전담 부서로 ‘굿뜨래경영사업소’를 신설하는 등의 조직 개편이 이루어졌다.

2023년 현재 부여군청의 행정 조직은 군수와 부군수를 비롯하여 2담당관 3국 17과, 2직속 기관, 2사업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1읍 15면을 관할하고 있다. 2022년 12월 31일 현재 부여군에 근무하는 공무원 수는 총 모두 899명이며 본청에 419명, 소속 기관에 480명이 재직하고 있다.

4. 예산 규모

2023년 부여군의 당초 예산 총액은 일반 회계 7234억 원, 특별 회계 494억 원을 합쳐 모두 7728억 원이다. 회계별 예산 규모 신장 추이를 살펴보면, 2022년에 비하여 일반 회계는 6.93%, 특별 회계는 45.29% 증액 편성되었다.

[주요 행정 활동]

부여군에서 2023년 현재 추진하고 있는 행정 활동은 크게 상생 농업, 문화 관광, 자치 분권, 군민 친화, 보편 복지로 나뉜다. 상생 농업 활동으로는 농민 수당 지급, 농업회의소 설립, 농업인 지원 정책, 스마트 농축산업 육성, 농업 인력 지원, 안정적인 농업용수 공급, 친환경 종합 미생물 배양장 설립, 버섯 특화 산업 육성 기반 구축, 안전한 먹거리와 안정적인 유통 확립, 부여 밤 재배 농가의 안정적인 경영 지원, 내수면(內水面) 양식 단지 조성 및 종어의 개발, 충청도 최초 염소 경매 시장 및 가축 시장 편의 시설 건립 등이다.

문화 관광 활동으로는 백마강 생태 정원 지정, 금강 누정 선유길 조성, 백제 역사 너울 옛길 조성, 도시 재생 뉴딜 사업, 원도심 역사 문화 도시 공원 조성, 화지산 백제 과원 및 둘레길 조성, 신동엽문학관 일대 문화와 예술 특화 거리 조성, 규암 지구 친수 구역 조성, 지역 문화 축제 품격 향상, 부여 송국리 유적 정비 및 세계 유산 등재 추진, ‘국립동아시아 역사도시진흥원’의 건립 등이 있다.

자치 분권 활동으로는 일반 산업 단지 조성, 버섯 가죽 플랫폼 구축, 지역 공동체 활성화 재단 설립, 교통망 확충, 여성 창업 지원 센터 개소,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지원 육성, 지역 특화 시장 육성, 도시가스 보급 확대 등이 있다.

군민 친화 정책으로는 부여 문화 예술 교육 종합 타운 조성, 불법 방치 폐기물 처리, 스마트 마을 무선 방송 시스템 구축, 양질의 교육 환경 제공, 아동 친화 도시 인증 추진, 굿뜨래 장학 사업, 공공 도서관 운영 및 활성화 지원 사업, 미세 먼지 저감 정책, 지속 가능한 환경 인프라의 구축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보편 복지 정책으로는 경로당 활성화 지원, 행복한 노후 생활 지원, 차별화된 출산과 육아 지원, 보육 정책, 복지 사각 지대 발굴 및 실질적 지원 강화, 교통 약자 이동권 보장, 의료 기반 확충 등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