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흑동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801377
한자 新黑洞
영어공식명칭 Sinheuk-dong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충청남도 보령시 대천5동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원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14년연표보기 - 충청남도 보령군 대천면 신흑리 개설
변천 시기/일시 1963년 - 충청남도 보령군 대천면 신흑리에서 충청남도 보령군 대천읍 신흑리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86년 - 충청남도 보령군 대천읍 신흑리에서 충청남도 대천시 신흑동(현포동 소속)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95년 - 충청남도 대천시 신흑동(현포동 소속)에서 충청남도 보령시 신흑동(현포동 소속)으로 개편
변천 시기/일시 1999년연표보기 - 충청남도 보령시 신흑동(현포동 소속)에서 충청남도 보령시 신흑동(대천5동 소속)으로 개편
성격 법정동
면적 9.85㎢
가구수 2,246가구
인구[남/여] 4,094명[남 2,145명/여 1,949명]

[정의]

충청남도 보령시에 속하는 법정동.

[개설]

충청남도 보령시에는 죽정동, 대천동, 화산동, 동대동, 명천동, 궁촌동, 남곡동, 신흑동, 요암동내항동의 10개 법정동이 있다. 법정동은 자연부락을 바탕으로 하였거나, 오랜 전통을 지닌 동이다. 이러한 법정동 중 인구가 적은 여러 법정동을 하나로 묶어 하나의 행정동을 설치했거나, 하나의 법정동이 그대로 하나의 행정동이 되고 있다. 신흑동은 행정적으로 대천5동에 속해 있다. 법정동으로서 신흑동의 지리적 특성은 명칭 유래, 형성 및 변천, 자연환경, 현황 등의 측면에서 파악할 수 있다.

[명칭 유래]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신대(新垈)와 흑포(黑浦)의 이름을 따서 ‘신흑리(新黑里)’라 부른 데서 유래되었다.

[형성 및 변천]

신흑동은 본래 보령군 우라면(于羅面)의 지역인데, 1914년 부군통폐합령에 의거한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고잠리高岑里), 군입리(軍入里), 흑포리(黑浦里)와 신대리新垈里), 사동(寺洞)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신흑리’라 해서 대천면에 편입되었다. 1963년 1월 1일 법령 제1177호에 의하여 대천면이 읍으로 승격하면서 대천읍 소속이 되었다. 1986년 1월 1일 법률 제3798호에 의하여 대천시 승격 이후로 ‘신흑동’으로 부르게 되었고, 행정동인 현포동(玄浦洞)에 속했다. 1995년 1월 1일 법률 제4774호로 대천시와 보령군이 통합되어 출범한 보령시 소속으로 되었다. 1999년 7월 20일 보령시 조례 제368호에 의거하여 행정동 명칭이 ‘현포동’에서 ‘대천5동’으로 변경되었다. 이러한 행정동 명칭 변경은 ‘대천’이라는 지명을 살리기 위해서였다.

[자연환경]

신흑동의 중북부 구릉성 산지[114.5m]가 가장 큰 산지를 형성하고 있고, 북부와 동부는 서해안에 접하고 있다. 서부의 해안에는 해안사구(海岸砂丘), 해안사빈(海岸砂濱), 간석지 등의 해안지형이 비교적 대규모로 발달해 있다. 구릉성 산지 둘레의 사면 말단부에 발달한 곡지(谷地)[골짜기]와 그 주변의 경사변환선 일대에는 자연마을이 입지해 있다. 산지 사면 중 완사면에서는 밭농사가, 곡간 충적지에서는 논농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서부의 해안지형들 중 해안사구는 마을, 관광시설, 도로 등의 입지기반이 되고 있고, 해안사빈은 대부분 해수욕장으로 개발되어 있는데, 대천해수욕장이 그것이다. 서부의 해안지형과 중북부 구릉성 산지 사이에 형성되어 있던 간석지의 대부분은 남포방조제 등의 축조를 통해서 간척되어 있는데, 간척지의 대부분은 ‘간석지들’로 불리는 논으로 개발되어 있고, 경지정리가 잘 되어 있다. 서쪽의 만입부(灣入部)에는 대천항(大川港)이 입지해서 일대의 연안어업, 해운 및 관광의 중심을 이루고 있다. 북부 해안의 대천항 우측에는 대천항 해경부두 조성을 위한 간척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남부의 해안사빈 끝자락에는 ‘갓바위[관암(冠岩)]’라 불리는 해안바위[파식대(波蝕臺)]가 있다. 대천해수욕장에서 4km 떨어진 지점의 해안에 있는 다보도(多寶島)[다슬기암]는 암석으로 이루어진 섬으로, 무인도이며 섬 둘래에는 돌과 자갈이 쌓여 있다. 자갈의 일부는 흰색이어서 섬 둘레의 바닷물이 맑게 보인다. 동쪽에 인접한 요암동과 더불어 대천반도(大川半島)를 이루고 있다.

[현황]

신흑동은 시의 서부 해안지대의 중간부에 있으며, 동지역 중에서는 남부에 있다. 동쪽은 요암동남곡동에, 서쪽은 서해에, 남쪽은 서해 및 남포면 삼현리에, 그리고 북쪽은 서해에 각각 접하고 있다. 면적은 2022년 4월 기준으로 9.85㎢이다. 10개 법정동 중 면적이 가장 크다. 행정동은 대천5동에 속해 있으며, 자연마을로는 강당, 신대말, 고사울, 군헌, 흑포, 마루뜰, 군입, 고잠, 상주막, 고령, 갓바위 등이 있다[보령시행정지도 기준]. 가구와 인구의 분포를 보면 2020년 12월 31일 기준 2,246가구에 총 4,094명으로 남자 2,145명, 여자 1,949명이다. 36·77번 국도, 607번 지방도, 시도 및 기타도로가 개설되어 있다. 36·77번 국도는 남동쪽 경계부, 중서부 및 북서부 일대를 동서방향으로 굴곡하면서 지나고 있는데, 남동쪽 경계에서는 요암동으로 연결되고 있고, 북서쪽 경계의 해안에서는 보령해저터널에 연결되고 있다. 607번 지방도는 남쪽 경계부에 개설되어 있는데, 도로 위쪽으로는 36·77번 국도에 연결되고 있고, 도로 아랫쪽으로는 해안의 남포방조제로 연결되고 있다. 시도는 북부 해안과 남서부 일대에 개설되어 있다. 북부 해안의 시도는 북동-남서방향으로 지나고 있는데, 북동쪽 경계에서 요암동으로 연결되고 있고. 남서쪽으로는 대천항 일대에 36·77번 국도에 연결되고 있다. 남서부의 시도는 대천해수욕장 일대에 개설되어 있는데, 북서쪽에서는 36·77번 국도에 연결되어 있고, 남동쪽 갓바위마을 부근에서는 남포방조제로 이어지는 607번 지방도에 연결되고 있다. 기타도로는 서부의 대천항대천해수욕장 일대에 조밀하게 개설되어 있고, 중부를 제외한 곳곳에 산재해 개설되어 있다. 서부의 기타도로는 36·77번 국도, 607번 지방도 및 시도에 연결되어 있다. 기타도로는 대부분의 자연마을들에도 연결되어 있다. 주요 시설로는 충남해양과학고등학교, 대천서중학교, 청용초등학교, 청파초등학교 등의 학교, 대천5동행정복지센터, 신흑119안전센터, 보령경찰서 해수욕장지구대, 대천해수욕장우체국, 보령시관광안내소, 대천해양경찰서, 보령경찰서 행정선지원센터, 보령시항만관리사무소, 오천항어항출장소, 대천어항우편취급소, 충청남도수산관리소 등의 공공행정기관, 대천항복지회관 등의 복지시설, 대천항작은도서관, 보령머드박물관 등의 문화시설, 한화리조트 대천파로스, JFK호텔마스타대천, 호텔머드린 등의 숙박시설, 대천항수산시장 등의 상업시설, 대천항, 대천연안여객선터미널, 대천항유람선터미널, 대천등대 등의 교통시설, 대천해수욕장, 군헌어촌계갯벌체험장, 나래뜰캠핑장 등의 관광휴양시설이 있다. 대천해수욕장 내에는 짚트랙, 스카이바이크, 머드광장, 야영장 등의 여러 부대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대천해수욕장 주변에는 대학교·시도교육청·군부대·은행 등이 설치한 임해수련원·연수원 등과 같은 관광휴양시설도 많다. 주요 시설 중 학교를 제외한 대부분은 대천항대천해수욕장과 관련된 것이어서 두 곳 일대에 근접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