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800019
한자 新宗敎
영어공식명칭 New Religion
분야 종교/신종교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충청남도 보령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윤현

[정의]

충청남도 보령 지역에서 기존의 제도 종교에 비해 성립 시기가 오래되지 않거나, 새로운 교리를 내세운 종교.

[개설]

전세계적으로 분포한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와 같은 기성 종교와 다른 제도·교리 등을 기초로 성립된 종교를 ‘신종교’라 한다. 여기서 ‘새롭다[新]’라는 의미는 기성 종교와 비교하였을 때 쓰이는 상대적인 개념으로, 기반이 없고 정교화되지 못하다는 의미와 새로운 호소력과 적합성을 지니고 있다는 의미의 양가성을 지니고 있다. 흔히 신흥 종교라고 일컬어져 왔으나, 결핍된 종교라는 부정적인 함축의 뜻을 띨 수 있어, 중립적이고 객관적인 용어인 신종교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신종교의 발생]

보령 지역의 신종교는 19세기 말 20세기 초의 개항기와 일제 강점기, 1960~1970년대 산업화 시기에 집중적으로 발생하였다. 19세기 말~20세기 초의 신종교는 ‘동학계(東學系), 증산계(甑山系), 단군계(檀君系)’가 주류를 이루었으며, 이외에도 ‘유교계, 불교계, 남학계(南學系), 기독교계, 무속계’ 내에서 신종교가 발생하였다. 당시의 신종교는 종말론적 대망(待望) 사상과 미륵 신앙, 그리고 운세 사상이 사상적 기반이 되어 후천개벽(後天開闢)을 표방하였다.

신종교 중 민족운동을 통해 성립된 종교로 대표적인 것은 1905년(고종 42) 동학의 제3대 교주 손병희(孫秉熙)가 개칭한 ‘천도교(天道敎)’, 1916년 소태산(少太山) 박중빈(朴重彬)이 창시한 ‘원불교(圓佛敎)’, 1909년 백봉(白峯)이 창교하여 나철(羅喆)이 중광(重光)한 ‘대종교(大倧敎)’ 등이 있다.

해방 이후에는 기독교계 신종교가 집중적으로 발생하였는데, 이는 기독교의 급성장과 더불어 메시아니즘(messianism)과 종말론, 토착적 요소 등과 신비주의적인 모습이 가미되면서 ‘종말론 강조, 개인 구원 중심, 도시형 종교’의 색채를 띠었다. 대표적인 것으로 1954년 문선명(文鮮明)이 설립한 ‘통일교(統一敎)’와 박태선(朴泰善)이 설립한 ‘전도관(傳道館)’, 조희성(曺熙星)이 전도관으로부터 독립한 ‘영생교(永生敎)’ 등이 있다.

[신종교의 특징]

신종교의 발생 원인은 아노미(anomie), 상대적 박탈감, 전통적 가치관과 기성 제도 종교의 설득력 상실, 문화 접변(接變)에 따른 충격 등을 들 수 있다. 그렇지만 모든 ‘위기’마다 신종교가 발생하는 것도 아니고, 모든 신종교가 사회적 위기에 대한 반응으로 발생하는 것은 아니므로, 각각의 구체적 사례에서 출발할 수밖에 없다. 일반적으로 신종교는 교리 혼합주의[Syncretism], 기존 질서에 대한 부정, 현실주의적 구원관, 임박한 종말론의 강조, 선민 사상, 신자 집단 내의 강력한 연대감 등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보령 지역의 신종교 현황]

보령 지역의 대표적인 신종교로는 기독교계 신종교인 순복음교회, 그리스도의 교회, 하나님의 교회, 말일성도예수그리스도교회,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통일교, 여호와의 증인 등이 있다. 이외에 원불교, 수운교(水雲敎), 증산도(甑山道) 등이 있다. 여호와의 증인의 경우 수혈 거부와 집총[병역] 거부 등으로 사회적 관심을 끌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 『보령시지』(보령시지편찬위원회, 201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s://encykorea.aks.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